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일차운동감각피질

primary sensory-motor cortex

primary sensory-motor cortex 일차운동감각피질: 언어이해 및 구어산출과 관련된 뇌 영역의 일부로 일차운동감각피질영역에 손상이 있는 경우.

일차체감각피질

primary somatosensory cortex

primary somatosensory cortex 일차체감각피질: 중심구의 바로 뒤에 위치한다. 이 영역은 체감각에 대한 정보를 받아들이는데 여기에서도 연결이 교차되어서 신체 오른쪽의 감각수용기는 뇌의 왼쪽으로 정보를 보내고 왼쪽에 있는 수용기는 뇌의 오른쪽으로 정보를 전달한다.

제 1강세

primary stress

primary stress 제 1강세: 어떤 단어 내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발음된 음절에 위치한 강세로서, 표시 기호는 ( ' )나( ′)이다. stress 참조.

일차성 말더듬, 초기 말더듬

primary stuttering

primary stuttering 일차성 말더듬, 초기 말더듬: Bluemel(1932)이 처음으로 일차성 및 이차성 말더듬이란 용어를 사용하였다. 그는 일차성 말더듬을 어떤 발화를 시작할 때 음절과 단어를 쉽게 또 힘들이지 않고 반복하고, 아동이 그것을 거의 또는 전혀 깨닫지 않지만, 나타났다가 없어졌다 하는 상태의 말더듬이다. stuttering stages 참조.

일차시각피질

primary visual cortex

primary visual cortex 일차시각피질: 후두엽의 뒤쪽에 위치하는데 브로드만 17번 영역과 해부학적으로 동일하며, 대부분이 두 대뇌 반구 사이에 감추어져 있다. 시각 정보를 일차적으로 받아들인다.

원시반사

primative reflex

primative reflex 원시반사: 출생한지 6, 7개월 이내의 유아의 특징으로 대뇌피질이 미숙하기 때문에 유의적 통제가 없는 반사운동을 보이는데 이것을 원시반사라고 한다. 정상유아의 경우, 일정한 시기에 좌우 대칭성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반사가 나타나는 시기에 반사가 결여되거나 소실해야 될 시기에 아직도 반사가 있는 경우, 또 명백히 좌우비대칭성이 있는 경우에는 어떤 중추신경의 이상이나 선천성기형ㆍ골절 등이 의심된다.

점화 문장, 점화어

prime

prime 점화 문장, 점화어: 정보 처리 과정에서의 예열이라 할 수 있는데, 대체로 사전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자극의 탐지나 확인 능력이 촉진되는 것을 가리킨다. 점화어가 앞서 제시된 후 이와 관련된 단어(표적어)가 제시될 때 후자에 대한 의미 처리가 빨라진다.

주동자, 발동기, 원동력

prime mover

prime mover 주동자, 발동기, 원동력: agonist, antagonist 참조.

점화, 정보 미리 주기

priming

priming 점화, 정보 미리 주기: 활동을 연습하고 자료에 미리 익숙해질 수 있도록 기회를 허용함으로써 과제수행을 향상시키는 전략이다. priming effect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