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점화효과

priming effect

priming effect 점화효과: 목표자극을 제시하기 전에 관련된 자극을 먼저 제시하는 과정에서 두 자극이 관련성을 공유하면서 발생하는 효과이다. 즉, 관련된 자극에 먼저 노출됨으로써 목표자극에 대한 반응이 촉진되는 것을 말한다.

점화과제

priming tasks

priming tasks 점화과제: 둘 이상의 자극이 순차적으로 주어지는 과제에서 첫째 자극이 두 번째 자극에 대한 식별이나 판단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관계가 되도록 구성한 과제.

초보적인 의사소통 행동 단계

primitive communicative behaviors

primitive communicative behaviors 초보적인 의사소통 행동 단계: 0~3개월, 생리적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울음, 미소, 눈 맞춤 등과 같이 반사적인 행동을 보이지만 이러한 행동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미처 인식하지 못한다.

대본 형성기, 초보적 이야기 형성기

primitive narrative

primitive narrative 대본 형성기, 초보적 이야기 형성기: 4세-4세 반 정도의 아동들이 보이는 이야기발달 수준이며, 아동의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사건들로 짤막한 이야기를 형성한다.

원시적 반사, 근육운동성 반사

primitive reflexes

primitive reflexes 원시적 반사, 근육운동성 반사: 원시적 반사는 출생 전에 발달하여 영아에게 지속되는 근육운동 반응. 원시적인 반사를 통해 출생 후 첫해 말까지 조음에 관한 운동 조절력을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원시적 반사는 초기 발달기에 나타났다가 중추신경계가 성숙하면서 사라지는데, 반사가 나타날 시기에 반사가 결여되거나 결여될 시기에 반사가 남아 있는 경우, 발달 문제를 의심해야 한다. 근육운동성 반사의 지속은 발달 문제의 분명한 진단 지표이다. 운동 발달은 의사소통 발달과 얽혀 섞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근육운동성반사는 영아를 의사소통 지체 및 장애의 위험에 처하게 한다.

주절

principal clause

principal clause 주절: main clauses 참조.

관습성 원리

principle meaning

principle meaning 관습성 원리: principle of conventionality 참조.

대비 원리

principle of contrast

principle of contrast 대비 원리: 단어마다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게 해주는 화용적 원리.

관습성 원리

principle of conventionality

principle of conventionality 관습성 원리: 모든 화자들이 같은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단어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는 화용적 원리. 즉, 단어의미는 관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