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ciple of CV-syllabification CV 음절화 원칙: CV요소들은 특정 언어에 존재하는 기본 음절들로 나누어진다. 기본 음절로의 음절화는 두 자음 우선 원칙에 의해서 제약된다. 두 자음 우선 원칙은 ①음절초두자음들은 주어진 언어의 음절구조 조건을 위배하지 않는 한 극대화한다. ②이어서 음절결미자음들은 주어진 언어의 음절구조을 위배하지 않는 한 극대화한다는 것이다. 위의 두 원칙 중에 ①이 먼저 적용되고 ②가 그 다음으로 적용된다. 이것은 VCV와 같은 한 줄이 주어진다면 달리 행하기 위한 주된 언어특정의 이유가 있을 것 같으면 두 자음 우선 원칙을 그 줄이 VC-V보다 오히려 V-CV로서 분절할 것을 요한다. ever〔eva〕와 같은 낱말은 〔e-v〕로 나누고 〔e-〕나누고 〔ev-〕로는 나누지 않는다. 영어에서는〔sp〕와 같은 CC 연속체를 허용한다. spoon에서처럼 초두에서 혹은 grasps처럼 음절말에 있을 수 있다.〔sp〕군이 음절초두에 혹은 음절말로 간주될 수 있는 경우에 aspire와 같은 낱말에 있어서 그 낱말의 a-spire로 혹은 asp-ire로 음절을 나눌 수 있다. 두 자음 우선원칙은 전자가 올바른 분절법이라는 것을 예언한다.
principle of discrepancy 변별성 원리: 아동이 초기 낱말기에도 상대방이 어떤 정보를 필요로 하는지 변별할 수 있어 그 상황에 필요한 정보를 의사소통 상대에게 전달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principle of elaboration 확장성 원리: 정신적 표상이 확장되면 이를 표현하는 수단인 언어도 확장해야 할 필요성이 생기는 원리.
principle of immediacy 즉시성의 원리: 어떤 행동이 발생한 직후 혹은 일어날 때 강화를 제공한다.
principle of relevance 상관성 원리: 아동은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어휘를 배우게 된다는 것으로 아동이 처음으로 학습한 어휘들은 아동이 어떠한 것에 관심을 갖고 중요하게 생각하는지가 반영된다는 것이다.
principle of response efficiency 반응 효율성의 원리: 아동이 의사소통 할 때 그 의도를 표현 할 상징체계를 결정해서 사용하는데, 점차 가장 효율적인 체계인 말로 표현하고 여러 어휘 중에서도 가장 효율적인 어휘를 사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principles and parameters theory 원리와 매개변수 이론: 문법적 수행 능력과 관련하여 지배결속(government and binding) 또는 원리와 매개변수 이론으로 알려진 Chomsky의 최근 주장의 핵심은 보편문법 개념이다. 이 이론은 언어의 습득을 설명하는 생득적 언어법칙과 보편문법은 모든 언어에 적용되는 원리와 경험으로 채워지는 일련의 선택인 매개변인으로 구성된다는 이론.
print awareness 활자 인식: 책 읽어나가는 방향 인식, 인쇄물에 대한 흥미, 단어 인식, “철자”, “단어”, “문장” 등과 같은 인쇄물과 관련된 용어를 포함한 기본적인 문해지식으로 이루어진다. 이후에 발달하는 기술은 별도 단위로 단어인식하기, 글자 변별이 가능해지기, 그리고 글자, 단어, 문장과 같은 용어 활용하기를 포함한다.
print concepts 인쇄물 개념: 인쇄물을 통해 표지와 제목이 있는 위치, 글을 읽는 방향 등을 배우는 등의 기초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인식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