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dural memory 절차 기억: 행위의 절차나 방법에 대한 기억으로 ‘어떻게’에 대한 기억이라 할 수 있다. 지각적·인지적 기술이나 운동 기술을 획득하고 보유하고 사용하는 데 이용된다. 언어적으로 표현하기 어렵고, 산출 체계로 표상되어진다. 이러한 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기억은 반복을 통해 자동화되고, 이 기억 정보는 인지, 운동, 지각 기술이 어우러져 수행의 기초가 된다. 행위나 기술, 조작에 관한 기억으로서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쉽게 표현할 수 없는 지식을 표상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절차기억은 어떻게 신발 끈을 묶거나 자전거를 타는지 지속적으로 이 활동들에 대하여 생각하지 않고서도 기억할 수 있게 해 준다. memory 참조
procedural model 절차적 모델: 심상 문법(mental grammar)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그 기저에는 절차적 기억이 있다.
proceduralization 절차화: 연습에 의해 접근 속도가 느린 서술 지식이 접근 속도가 빠른 절차 지식으로 변환되는 과정. 절차 지식은 산출로 표상되는데, 산출의 조건이 충족되면 행동이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예컨대, 4+3 = 7이라는 사실은 처음에는 서술 기억에 명제 형태로 표상되나, 연습이 반복됨에 따라 이 정보는 절차 기억의 산출 규칙으로 표상된다. 따라서 4와 3이 주어지면 7이 자동적으로 인식된다. 즉, 처음에는 서술 기억으로부터 정보가 느린 속도로 인출되지만 절차화에 의해 일종의 패턴 재인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게 된다.
Procedures for the Phonological Analysis of Children's Language 아동 언어의 음운분석을 위한 절차: 자발적인 언어 샘플이나 음운 일상에서 혹은, 유도하기와 검사하기를 통하여 얻어진 자극들에 대한 포괄적 음운 분석을 완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절차 세트임. 이것은 광범위한 음운 변동을 분석할 수 있다.
process 돌기: 해부학에서 돌출부나 뻗어 나온 가지. 다양한 돌기에 대해서는 해당되는 용어 참조. crus 참조.
processing 처리: 사무나 사건 따위를 절차에 따라 정리하여 치르거나 마무리를 지음.
processing capacity 처리 능력: 현재 존재하거나 저장된 정보를 조작하거나 혹은 새로운 정보를 창조하는 능력이다. 여기에는 지각, 부호화, 해독, 기억으로부터의 인출, 시연, 추론 등의 인지적 과정이 포함된다.
processing dependent tasks 처리과정 의존과제: 사전 지식이나 경험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며, 그 예로는 숫자 폭(digit span: 일련의 숫자들을 임의의 순서로 반복하기), 작업기억(working memory: 아동이 한 문장을 듣고, 참인지를 말하고 문장의 마지막 단어를 생각해내도록 요구받는다), 비단어 반복(non-word repetition: 익숙한 영어단어들과 닮지 않은 2음절에서 4음절까지의 길이를 지닌 무의미한 단어 반복하기) 등과 같은 다양한 기억 과제를 포함한다.
processing resources 인지적 정보처리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