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의미론적 분석 프로파일

Profile in Semantics(PRISM)

Profile in Semantics(PRISM) 의미론적 분석 프로파일: 아동 발화에서 의미론적 사용을 분석하기 위해서 1982년 Crystal이 개발한 도구이다. 이 검사는 의미론의 습득에 대해서 연구가 매우 적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 프로파일은 매우 실험적이었다. 이 프로파일은 의미론/문법 및 의미론/어휘론의 습득에 기초를 둔 것이다. PRISM-G는 문장에서 의미와 문법적 요소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3쪽 분량의 차트가 있다. PRISM-L은 검사해야 하는 어휘의 양 때문에 16쪽 분량의 분석이다. 의미와 문법 요소 중 한 가지만 사용하면 차트 1개만 사용할 수 있지만, 2개를 함께 사용한다면, 아동의 의미론적 구조에 대한 심층 분석을 할 수 있다.

음운론적 분석 프로파일

Profile of Phonology(PROPH)

Profile of Phonology(PROPH) 음운론적 분석 프로파일: 1982년 Crystal이 개발한 도구로, 아동의 음 시스템을 분석하는데 사용한다. 이것은 전사 쪽 외에 자료를 요약하는 3쪽이 따로 있다. 치료사는 약 100개 단어의 언어샘플을 취해서 아동의 음운론적 시스템을 분석하려면 가능한 한 많은 샘플을 전사할 필요가 있다. 이 샘플을 전사하고, 아동이 사용한 분절을 분석한다. 오류는 단일 자음, 단모음, 자음군 등의 견지에서 자세히 한다. 분절의 세 가지 형태를 조음의 방법 및 위치에서의 오류로 나누었다. 음운 변동에 대한 정보는 제한되어 있다. 이 프로파일은 아동의 음에 대한 심층 분석을 제공한다.

운율적 분석 프로파일

Profile of Prosody(PROP)

Profile of Prosody(PROP) 운율적 분석 프로파일: 아동의 구어에서 초분절적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서 1982년 Crystal이 개발한 것이다. 환자의 구어에서 음도, 강도, 비율, 리듬 등의 패턴을 한 쪽의 차트에 나타낸다. 이것은 PROPH를 보충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대부분의 언어학적 오류들이 억양 변인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이 프로파일의 많은 부분이 아동의 억양 사용에 관한 것이다. 억양부분은 톤(tones), 톤단위(tone units)로 나누어져 있다. 요약부분도 제공된다.

대용어

proform

proform 대용어: 그 의미가 문장이나 본문의 다른 부분에 의존하는 단어나 어휘구라고 정의하고 있다.

심도, 최고도

profound

profound 심도, 최고도: 깊은 정도.

최고도 청력 손상 또는 손실

profound hearing impairment or loss

profound hearing impairment or loss. 최고도 청력 손상 또는 손실: hearing impairment degrees 참조.

조로증

progeria

progeria 조로증: 소인증의 한 병형으로 왜소한 체구, 수염과 치모의 결손, 주름이 많은 피부, 백발노인 같은 얼굴, 태도, 행동 등을 특징으로 한다.

하악돌출

prognathia

prognathia 하악돌출: 하악이 비대해져 증식되어 돌출됨.

상악전돌

prognathic

prognathic 상악전돌: 턱이 두드러지게 돌출한 것. retrognathic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