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minence 돌출도: 1.음의 강세, 장단, 고저 등에 의해 소리의 크기가 두드러지는 것. 2. 융기, 구조물 또는 그 부분 위에 있는 작은 융기물.
promising practices 성과가 기대되는 실제: 과학적 기반의 실제로 고려되기에는 추가적인 과학적 자료가 더 필요한 것이 사실이지만 자폐 아동들에 대한 효율성과 유용성을 지닌 것으로 판단되는 방법을 의미한다.
promontory 돌기, 융기: 와우각의 기저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골미로 벽에 있는 중이쪽 돌출부.
Promoting Aphasics' Communicative Effectiveness(PACE) 실어증자의 의사소통 효과를 촉진하기: 1980년에 Davis가 개발한 것으로, 실어증환자에게 사용되는 치료기법이다. 이것은 치료사와 환자가 대화 상황에서 동등하게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하도록 만들어졌다. 치료회기는 일상의 일대일로 얼굴을 맞대고 하는 대화를 하는 것과 유사하다. PACE는 4가지 원리에 근거하고 있는데 치료사와 환자 사이의 동일한 참여, 치료사와 환자 사이에 새로운 정보 전달, 의사소통 양식의 자유스런 선택, 치료사로부터 자연스런 피드백. PACE가 효과적으로 사용될 때, 환자는 치료사 또는 집단의 다른 참여자에게 어떤 새로운 정보로 의사소통을 하기 때문에 치료가 즐거운 것이다.
promoting awareness of speech sounds(PASS) 말소리 인식 촉진: 언어 및 학습장애 아동의 문해력 문제 해결에 활용할 수 있는 취학전 아동용 음운인식 애플리케이션. 각운 맞추기, 합성하기, 분절하기로 이루어져있다.
prompt 촉구: 실마리의 한 종류로, 구어에서는 주로 구두적인 실마리(verbal cue)이다. 아동에게 특정의 적절한 행동을 수행하도록 암시하는 변별자극의 사용은 촉구하기(prompting)라 하고, 변별자극 그 자체는 촉구라 한다. 다른 변별자극과 촉구와의 차이는, 촉구는 특별한 목적을 치료사가 전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촉구는 어떤 방법으로 행동하기를 원하는 실마리 이상은 아니며, 이 행동에는 강화 인자가 뒤따른다. 자연적인 변별자극이 행동과 관련 있는 것에 덧붙여서 주어지기 때문에 보조적인 변별자극이라 한다. 예를 들어, 아동이 팬티를 끌어올리기 원하면, 팬티를 지적하면서 "너 팬티를 끌어 올려"라고 말하고, 팬티 올리는 아동의 손을 이끌어 줌으로써 그렇게 행동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촉구(변별자극)의 전달은 치료자 자신이나 팬티 훈련을 시도했던 침실에서 팬티를 끌어올리는 자연 변별자극에 덧붙여질 수도 있다. 자연 변별자극이 과거에 팬티를 끌어올릴 소지를 충분히 설정해 주지 않았기 때문에, 아동에게 팬티를 끌어올리도록 가르치기 위해서 촉구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촉구의 중요성은 행동이 일어날 가능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촉구는 적절한 기술이나 행동이 없는 최중도, 중도 지적장애아를 가르치는데 특히 가치 있는 기술이다. prompting 참조.
prompting 촉구하기: 학생이 표적 행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다양한 자극이다. 자연적 촉구(natural prompt)는 환경에 내재된 자연스러운 분위기에 의한 자극이며, 말로 설명을 하는 언어적 촉구(verbal prompt)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촉구이다. 몸짓 촉구(gestural prompt)는 지적하기 촉구라고도 하며 간단한 몸짓 또는 특정한 방향을 지적하는 것으로 어떤 행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몸짓 촉구는 언어적 촉진과 짝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모델링 촉구(modeling prompt)는 원하는 행동에 대한 일부 또는 전체를 시연하는 것이며, 신체적 촉구(physical prompt)은 신체적으로 아동을 인도함으로써 표적 행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인데 자칫 아동이 신체적 촉진에 의하여 적개심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사용해야 한다. 처음에는 표적 행동의 수행을 돕기 위해서 촉진을 사용하다가 조금씩 촉진의 정도를 줄여나감으로써 아동이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prompt 참조.
prompting dependency 촉구 의존성: 학생이 반응하기 전에 촉구를 기다릴 때에 발생하며 이를 촉구에 의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prone position 복와위: 흉복부를 밑으로 하고, 하지를 좌우로 약간 벌려서 펴고, 제1지를 내측으로 향한다. 얼굴을 옆으로 향하고, 상지는 가볍게 얼굴의 옆으로 굽히거나 몸측으로 자연스럽게 편 체위. 이 체위는 배부(背部)의 상처, 배부 수술의 경우에 이용된다. 흉부가 압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복부에 작은 베개를 넣고 첨족(尖足) 예방을 위해서 하퇴를 베개나 방석으로 받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