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고유수용, 고유감각, 공간지각

proprioception

proprioception 고유수용, 고유감각, 공간지각: 공간에서 자신의 사지 또는 관절의 방향정향(orieutate)을 하도록 입술, 턱, 혀 등의 근육수용기로부터 오는 감각 피드백 능력(예; 눈을 감은 상태에서 자신의 코를 만지기)이다. 이러한 능력은 먹기, 걷기, 말하기 등의 일상생활에 필요하다. kinesthesis(신체의 움직임 및 위치 인지)와 촉감(taction; 촉각(touch) 혹은 접촉(contact)에 사용하는 용어이다. 구어는 청각 및 고유수용 피드백을 통해 모니터링되고 있다. 또한 근육, 관절, 건(힘줄) 등으로부터 오는 감각적 데이터를 포함한다. perception 참조. 

고유수용감각 피드백, 공간지각 피드백

proprioceptive feedback

proprioceptive feedback 고유수용감각 피드백, 공간지각 피드백: 근육, 건(힘줄), 관절 등으로부터 정보가 되돌아오는 것. 구어에서, 조음기들의 위치를 자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Syn: afferent feedback.

자기수용정보

proprioceptive information

proprioceptive information 자기수용정보: 환자가 상담에 의해 자신을 가치가 있는 인간이라고 생각하고, 가치기준이 자신의 경험에 근거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또한 자신의 감정 등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담이 성공하는 필요조건이다.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기법: 마비된 근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기법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기법: 마비된 근육에서 운동을 자극하고 촉진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료기법으로, 고유수용감각기(proprioceptor)와 손 접촉(manual contact), 청각 자극 등과 같은 외수용기(exteroceptor)를 자극하여 근육활동을 촉진 하는 것이다. 

고유수용적 신경근육 촉진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PN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PNF) 고유수용적 신경근육 촉진: 마비된 근육에서 운동을 자극하고 촉진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료기법. 이 기법은 생리치료법과 결합하여 사용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이 치료법의 목적은 여러 가지 다양한 자극으로 영향을 받은 뉴런에 충격을 가하는 것이다. 아이싱(icing; 특정한 근육 위에 얼음으로 닦는 것)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공간지각, 고유(수용)지각

proprioceptive perception

proprioceptive perception 공간지각, 고유(수용)지각: 근육, 건(힘줄), 관절 등의 감각에 대한 자각. perception 참조. 

고유수용감각기, 고유수용기

proprioceptor

proprioceptor 고유수용감각기, 고유수용기: 골격근, 건(tendon), 관절, 인대에 있으며 정보를 중추신경계로 보내 근육의 활동. 이동 자세를 결정하는 운동감각 수용기군으로서, 인체와 관련하여 자세나 움직임, 자세나 무게 그리고 특정 자극에 대한 저항 등을 인식하는 것. 

안구돌출증

proptosis

proptosis 안구돌출증: 안구가 돌출되는 증세. 

산문

prose

prose 산문: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기술한 글. 넓은 의미로는 모든 문서 또는 일상의 대화도 산문에 속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문예 분야의 용어로 산문 문학을 뜻한다. 소설, 수필, 동화, 일기, 기사 등 운율이 없는 글이 그 종류이다. verse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