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sencephalon 전뇌: 전뇌는 다시 간뇌와 종뇌의 두 개 부분으로 구분된다. 간뇌는 중뇌의 전방에서 제3뇌실을 둘러싸고 다시 종뇌의 배측으로부터 완전히 덮여 시상, 시상상부, 시상하부, 시상후부 등 4부로 되어있다. 시상상부에는 식물성 신경계의 최고중추가 있고, 시상은 직접 신체말초로부터의 지각 흥분을 받으며, 시상후부는 청각의 중간핵이 되고, 시상부는 원심성 전도로(신체의 성장억제작용에 관계하는 내분비기관인 송과체외에 후각에 의한 반사작용을 전달한다.)에 관계한다. 또 시상하부에는 하수체라는 내분비기관이 매달려 있다. 즉 간뇌는 주로 회백질로 대뇌피질 바로 아래에 있는 중요한 중추이며, 이곳으로 많은 전도로가 출입한다. 제3뇌실은 간뇌중에 있는 열극상의 공실이고, 뒷면은 중뇌수도와 연통되었고, 앞면에는 좌우로 실간공이 있어 대뇌반구 중의 종뇌실에 연통한다. 제3뇌실에도 제3뇌실 맥락총이 있어 뇌척수액을 분비한다. 종뇌는 거의 최전방에서 좌우의 대뇌반구가 뇌량이라는 결합섬유에 의하여 결합된 부분이고, 각측 대뇌반구 중에는 종뇌실이라는 공동이 있어 실간공으로 제3뇌실과 연통된다. 대뇌반구는 그 표백이 소뇌와 같이 회백질로 되어 있고, 심부는 백질이며 백중 중에는 대뇌핵이라는 신경세포군이 있다. 또 미상핵, 렌즈핵, 전장, 편도핵이 이에 속하며 시상과 렌즈핵, 렌즈핵가 전장 간에는 각각의 내포 및 외포라는 백질부분이 있다. 대뇌피질은 부위에 따라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후두엽 및 도로 구분되고, 각 엽은 다시 많은 구에 의하여 대뇌회가 생긴다. 동물에 비하여 인류는 그 발달이 양호하여서 표면적이 넓어지고 보다 많은 신경세포가 존재한다. 동물신경계의대뇌피질에는 수뇌(myelencephalon)와 후뇌(metencephalon)와 같은 여러 최고중추가 있다. brain 참조.
prosocial behavior 친사회적 행동: 긍정적이고 건설적이며 도움을 주려는 행동을 말하며, 반사회적 행동과 반대가 되는 행동이다. 예를 들어, 친사회적 긍정적이면서 도움이 되는 모델들이 아동들에게 독서 습관을 조장해 주려면 그들에게 책을 읽어 주고, 그들 주변에서 책과 독서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면 아이들이 친사회적 영향을 끼치는 행동을 말한다.
prosodeme 운율소, 악음소, 초분절음소: suprasegmental phoneme.
prosodic bootstrapping hypothesis 운율적 자동처리 가설: 언어를 학습하는 아동이 그들이 듣는 말의 운율적 특성에서 언어의 통사 구조에 대한 단서를 찾아서 사용한다는 가설.
prosodic cues 운율 단서: 유아들이 말 흐름을 쪼개어 내기 위해 낱말이나 음절의 친숙한 강세 패턴 또는 리듬으로부터 단서를 끌어낸다.
prosodic features 운율 자질: 소리의 장단, 고저 등의 변화 등에 의한 어음 변화와 관련된 자질들을 포함하는 것. ①장음-단음: 이 자질은 음성의 지속을 언급한다. 길이는 기본적인 음성적 속성으로 여기지는 않았지만 오히려 2차적인 [긴장]자질의 우발적인 속성으로 여기고 있다. [+long]자질을 사용하면 대등하게 모음과 자음에 적용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장음]자질은 다차원적이다. ②강세: 낱말에서 강세를 받는 모든 음절은 비강세 대응 음절보다 더 뚜렷하지만 강세의 음성적 표시는 다르다. 강세를 받는 음절은 소리의 크기로 지각되는 신호의 증가된 강도와 보다 긴 길이, 상승된 음높이의 혼합에 기인된다. ③음조: 음조와 음높이 사이를 구별하는 것은 중요하다. 어떤 음조 언어(tonal language)에 있어서 그러한 음높이 차이가 낱말의 의미 사이를 구별시키기 위해서나 문법적인 변별을 전달하기 위해서 음소적으로 사용된다.
prosodic information 운율 정보: 형식만으로는 알 수 없는 의미를 언어에 부여하는 초분절적 요소로 음높이, 세기, 길이와 같이 발화에 동반된 음향학적 단서이다.
prosodic regularities 운율 규칙: 음의 주파수(음도), 지속시간(길이), 강도(크기)를 나타낸다. 운율적인 특징들의 조합은 영아가 구어 흐름을 분석하기 위하여 감지할 수 있는 억양 패턴과 구별할 수 있는 강세들을 산출한다.
prosody 운율, 운율학: 1. 강세와 억양과 같은 초분절적 측면의 언어학적 질(linguistic qualities)을 신호하는 구어의 물리적 속성으로, 음성의 기본주파수, 음성의 강도, 개별언어음의 지속시간 등을 포함한다. 2. 연속되는 말에서 속도, 음도, 강도, 강세, 억양 및 운율의 변동. 주로 음도, 강도, 음질, 템포, 지속시간 등의 수정에 의해서 결정되는 구어의 멜로디로 주로 강세와 억양 패턴으로 지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