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얼굴실인증, 안면인식장애

prosopagnosia

prosopagnosia 얼굴실인증, 안면인식장애: 시각 실인증의 일종으로, 타인 및 자신의 얼굴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는 실인증이다. 장소나 사물에 대한 인식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흔하며 얼굴에 대한 인식장애만 국한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두부 외상, 뇌졸중, 퇴행성 변화 등의 뇌손상에 의한다. 정상적인 안면 인식 능력을 가지고 있다가 이런 손상으로 그 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특별한 외상의 병력이 없더라도 안면 인식 장애는 발생 즉시 인지될 수 있다. agnosia 참조. 

안면실인증

prosopagnosia agnosia

prosopagnosia agnosia 안면실인증: prosopagnosia 참조 

미래 기억

prospective memory

prospective memory 미래 기억: 특정 시간에 해야 할 일들을 기억하는 것이다. 하루 중 특정 시간에 약속을 지키는 것, 메일을 점검하는 것 등이 그 예이다. 임상가는 환자에게 저녁 시간에 있을 일들이라든가, 의사와의 약속 또는 회진, 약 먹는 시간, 재활 활동 일정에 대해 물어봄으로써 미래기억을 평가할 수 있다. 

어두음 첨가 현상

prosthesis

prosthesis 어두음 첨가 현상: 초성 위치에서 분절음이 추가된다.

인공물, 보철

prosthesis pl. prostheses

prosthesis pl. prostheses 인공물, 보철: 1. 인체의 없거나 손상된 신체 부위를 인위적으로 대체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장치. 예) 인공 후두, 틀니, 구개 올림개(리프트). 2. 치아궁에서 치아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해서 사용된 "걸쇠"(brace)를 말하는 기술적 용어이다. 구개파열 아동이 음식 먹는 것을 돕기 위해서 입안에 착용시키고, 나이든 아동들에게는 연구개를 상승시키고(mouth 참조), 아동의 구어에서 비성성을 낮추기 위해서 구개리프트(palatal lift)를 사용한다. 3. 의사소통 보조기를 종종 "보철기(prosthesis)"라고도 설명된다. 

보철의

prosthetic

prosthetic 보철의: 보철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 있는. 인공적 대용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인공기관이나 인공보장구를 사용한 또는 적용한.

보철 장치

prosthetic management

prosthetic management 보철 장치: 치아 및 구개를 대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공적인 장치물. cleft palate 참조.

보철학, (보)장구학, 치과보철학

prosthetics

prosthetics 보철학, (보)장구학, 치과보철학: 보철물의 설계, 사용법 등 보철의 지식에 관한 영역의 학문.  

치과보철학

prosthodontia

prosthodontia 치과보철학: prosthodon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