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공통 기어(基語), 조어

protolanguage

protolanguage 공통 기어(基語), 조어: 1. 언어 전조(precursors)와 언어발달기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시기인 9-15개월 아이에게서 나타나는 언어. 아이들은 풍부한 문법 구조 없이 이용하는 소리의미 결합으로 어휘를 익히며 공통기어에서 실제언어로 도약하는데, 이 때에는 단어를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조정하는 기능으로만 사용한다. 2. 하나의 언어가 시간 흐름에 따라 분열, 장기간에 걸쳐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언어로 분화되었을 때 그 근원이 되는 언어를 이르는 말. 예를 들면 라틴어는 그리스어 ·산스크리트 등과 함께 보다 더 이른 시대에 존재했던 하나의 언어가 각각 분화되어 성립된 언어로 추정되며 이것을 인도유럽어 조어라 한다. language 참조.

원형

prototype

prototype 원형: 범주개념의 대표적인 예로서 한 범주의 모든 전형적인 속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Rosch에 따르면 어떤 예의 원형에 대한 유사성이 범주 구성원의 자격을 결정한다. 즉 어떤 예가 그 범주에 속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대상의 실제 속성과 그 대상의 원형 간의 유사성 정도이다. 예를 들면, 개념학습의 전통적 관점을 비판하는 학자들은‘새’라는 개념의 진수를 담고 있는 심상, 즉 원형을 마음속에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만일 어떤 대상의 속성이 사람들이 상상한 원형과 유사하면 할수록 대상이 그 범주에 속하게 될 확률은 증가한다.

전형범주, 원형범주

prototype category

prototype category 전형범주, 원형범주: 범주개념의 대표적인 예로서 한 범주의 모든 전형적인 속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어떤 예가 그 범주에 속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대상의 실제 속성과 그 대상의 원형 간의 유사성 정도이다. 

전형적 복합 가설

prototypic complex hypothesis

prototypic complex hypothesis 전형적 복합 가설: 단어 의미는 중심적 지시물이나 그 개념의 가장 좋은 예나 복합물인 원형으로 예시되는 내재적 개념을 표상한다는 이론.

원시단어, 원(시)어

protoword

protoword 원시단어, 원(시)어: 아동이 일관된 의미를 가지고 사용하지만 목표언어의 단어에서 나온 것이 분명히 아닌 독특한 소리 연쇄. word 참조. 

돌출 리스프

protrusion lisp

protrusion lisp 돌출 리스프: 전 리스프(frontal lisp). lisp 참조. 

속담, 격언

proverb

proverb 속담, 격언: 한 사회의 전통적 가치, 신념 및 지혜를 표현하는 진술. 일종의 상징 언어. 충고를 하거나 민속적인 지혜를 서술하는 말의 한 모습으로, 예컨대 "Don't put all your eggs in one basket.(네가 지닌 달걀을 모두 다 한 바구니에 담지는 말아라.)" 같은 것이 있다.  

근접공간학, 근접학, 공간학, 의사소통 공간

proxemics

proxemics 근접공간학, 근접학, 공간학, 의사소통 공간: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들 사이의 물리적 공간을 연구하는 학문을 말하며,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반영할 뿐 아니라, 연령이나 문화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의사소통에서 비언어학적인 것 중의 하나. ①개인 간의 의사소통에서 공간적인 위치를 잡는 것의 역할 및 기능에 대한 연구. ②친밀한 영역, 사회적 영역, 개인적 영역, 공적 영역 등의 네 가지 영역에 대한 자각. *언어학적인 것: 구어(spoken language), 문어(written language), 체어(gestured language); *비언어학적인 것: 의사소통 공간(proxemics), 운동감각(kinesthetics), 소리(vocalics). 

근간의, 근접의, 근위

proximal

proximal 근간의, 근접의, 근위: 중심이나 원점에서 가장 가까운 것을 나타내는 뜻. 팔다리의 경우에 적용되며 몸통에 가까운 쪽을 나타내는 인체의 방향과 관련된 용어. 반대어: dis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