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ximal cause 근인: 현재 장애를 유지시키고 있는 또 다른 문제.
proximity effect 근접효과: 마이크와 녹음하는 음원의 거리가 근접할 때 낮은 음역주파수 특성이 상승하는 현상.
proximodistal development 중심-말초 발달: 인간의 몸이 중심 척추부분부터 점차 바깥과 말초 부분으로 발달해 나가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면, 인간의 대근육 사용능력 및 숙달능력은 소근육 사용 및 숙달 능력보다 먼저 이루어진다.
PSB(professional services board) 전문 서비스 위원회: ASHA의 조직 기구중 하나로서, 임상서비스를 심의하는 기구.
pseud-, pseudo 모조의, 가짜의: ‘유사함’ 혹은 종종 ‘가짜’의 의미를 갖는 접두어.
pseudo stuttering 가짜말더듬, 위장 말더듬: 말더듬인이 겪는 어려움을 모방하기 위해 만든 고의적으로 속이거나 거짓된 말더듬. 가끔 둔감화에 도움이 된다. 위장 말더듬의 가장 큰 특성은 급하거나 압박을 주는 상황에서 말더듬 없이 더 유창하게 발화한다는 것이다. 위장 말더듬의 감별을 위해서는 유창한 행동과 비유창한 행동에 대한 양적·질적 차이와 의사소통·말더듬·말더듬인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pseudobinaural hearing aid 가성양이 보청기: Y-코드 보청기. hearing aid 참조.
pseudobulbar 가연수: 뇌간에 손상을 입은 후 관찰되는 증상과 유사한 상태이나 실제로는 다른 원인에 의해 야기된 것이다.
pseudobulbar affect 가연수 증상: 개인이 실제로 느끼는 감정과는 별개로 나타나는 조절할 수 없는 웃음 또는 울음이며, 말운동장애 중 경직형 마비말장애에서 가장 흔히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