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nisher 처벌물: 행동에 뒤따르는 반응으로, 반응 후 일관성 있게 주어질 때 그 반응이 일어날 확률을 떨어뜨리는 자극을 가리킨다.
punishment 벌: 문제 행동이 재발하는 빈도 및 확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행동 뒤에 제시되는 결과다. 어떤 행동의 바로 뒤에 따라 오는 후속사건으로, 그 행동의 빈도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pupil 동공: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수축하고 팽창하는 눈의 홍채 중앙에 있는 둥근 구멍.
puppetry 인형극: 배우 대신에 인형을 등장시켜 전개하는 연극, 손과 같은 신체의 일부분을 사용하거나 줄 또는 막대에 매달아 조종하며 대사를 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꼭두각시 놀음이 이에 속한다.
pure agraphia 순수실서증: 보스턴 학파가 확인한 순수실어증의 한 형태. 환자들은 쓰기 및 철자 문제를 나타낸다. 읽기는 단지 약간 영향을 받는다. agraphia 참조
pure alexia 순수실독증: 보스턴 학파가 확인한 순수실어증의 한 형태. 시각적으로 제시된 사물을 판별하는 능력과 시력은 정상이나 읽기 능력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
pure aphasia 순수실어증: 보스턴 학파가 확인한 실어증의 한 형태. 단지 한 가지 언어양식이 영향을 받은 반면, 다른 모든 결합된 양식들은 손상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다. aphasia 참조.
pure aphemia 순수조음증, 순수실어증: 환자가 모방이든 자발적으로든 어떠한 구어음을 정확하게 산출하지 못하는 조음장애로 현재는 pure aphasia라고 한다. Broca's aphasia, subcortical motor aphasia 참조.
pure dysarthria 순수 마비구어장애: 사지의 신경장애를 보이지 않은 채 안면이나 혀의 약화만을 동반한 마비구어장애를 보이거나 혹은 아무런 다른 증상이 없이 구어장애만을 보이기도 한다. dysarthria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