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e tone 단순음, 순음: 단순배음 운동을 하는 단일 주파수의 음이며 실험실에서 임의적으로 만들어낸 소리로, 단일 주파수의 소리를 내도록 만들어진 소리굽쇠를 예로 들 수 있다. 배음(harmonics)이 없이 1개 주파수만 있는 음파. Syn: simple tone. tone 참조.
pure tone air-conduction threshold 순음 기도 역치: 귀의 병리상태를 진단하는데 사용된다. 피검자에게 청력검사기에서 발산된 순음을 이어폰을 통해 자극한다. 이어폰으로 제시되는 순음을 제시한 것 중 50% 정도 인지할 수 있을 때의 강도수준.
pure tone audiometry 순음청력측정: 순음검사에는 환자가 제시되는 음을 제시한 횟수의 50%나 2/3를 식별할 때까지, -10dB에서 120dB HL의 범위에서 강도를 내리거나 올리면서 7개 주파수(125, 250, 500, 1000, 2000, 4000, 8000Hz)를 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개 청력경로를 사용하여 순음을 제시한다. andiometry 참조. ACBCMaskedACBC오른쪽 귀-빨강색RO[ △<왼쪽 귀-파랑색LX] ▽>
pure tone average(PTA) 평균 순음청력: 순음청력검사에서 각 귀에 대해서 500Hz, 1,000㎐, 2,000Hz의 주파수에서 측정된 청력역치 수준의 평균. pure-tone audiometry 참조.
pure tone bone-conduction threshold 순음 골도 역치: 기도 전도검사결과가 청력손실을 나타낼 때 사용되어지는 기법. 발견된 청력손실이 전도성인지, 감각신경성인지, 혹은 두 가지 모두인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진동자(이마 중앙이나 귓바퀴 바로 뒷부분에 있는 유양돌기에 붙임)로 제시되는 순음을 제시한 것 중 50% 정도 구별할 수 있을 때의 강도 수준.
pure tone threshold 순음(청각) 역치: pure tone air-conduction threshold 참조.
pure vowel 순수모음, 순 모음: 이중모음이 아닌 모음들. 음절을 통하여 그 모음의 질이 실질적으로 그대로 유지하는 모음. /i/, /ɪ/, /ɛ/, /æ/, /ə/, /ɑ/, /ɔ/, /ʋ/, /u/, /ʌ/, /ɚ/. vowel 참조.
pure wave 단음파, 순수파: 사인파. sinusoidal wave 참조.
pure word agnosia 순수 단어 실인증: 어음 인지에 특히 어려움이 있음. 이 환자는 들은 말을 반복할 수 없지만, 어떤 자발적인 구어, 읽기, 혹은 쓰기 등은 간혹 할 수 있다. 때때로 치료사의 얼굴을 주의깊게 바라보는 독화가 들은 것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