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순어농증, 순수어농

pure word deafness

pure word deafness 순어농증, 순수어농: 오류가 없는 자발적인 말과 함께 청각적 이해력의 부족. 대뇌상해 환자에서 가끔 관찰되는 희귀한 증후이다. 이 증후는 구어이해가 제한되는 것이 특징이며, 양쪽 측두엽에서 일차청각영역과 베르니케영역이 분리되어 일어나는 장애이다. pure aphaias 참조. 

순음 청력 검사기

pure-tone audiometer

pure-tone audiometer 순음 청력 검사기: 선택된 주파수의 순음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측정하는 전기음향기기이며, 전기 청력검사기의 중요한 분류 중의 하나이다. 

순음 청력측정

pure-tone audiometry

pure-tone audiometry 순음 청력측정: 청력을 측정하기 위한 청각자극으로서 다양한 주파수대와 강도를 이용한 청력측정. 기도청력과 골도청력의 결과비교가 포함된다. audiometry 참조. 

가지치기

puring

pruning 가지치기: 신경세포 간의 연결이 활발하지 못하여 퇴행하여 사라지는 것. 활성이 없는 신경세포는 가지치기를 통해 사라지게 된다. 영유아는 성인보다 더 많은 신경세포를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가지치기를 통해 뉴런이 소멸된다.

묘천음 진전(描喘音震顫)

purring tremor

purring tremor 묘천음 진전(描喘音震顫): 심장 위에서 촉진에 의하여 감지되는, 고양이의 목구멍에서 골골거리는 음과 유사한 진전음. 

화농성의

purulent

purulent 화농성의: 화농하는, 화농촉진제. 

화농성 삼출액

purulent effusion

purulent effusion 화농성 삼출액: 중이에 차는 고름과 유사한 액체. 

화농성 중이염

purulent otitis media

purulent otitis media 화농성 중이염: suppurative otitis media 참조.  

향후법(向後法)

push back

push back 향후법(向後法): 구개 파열을 교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외과적 절차. 연구개를 구개골의 뒤 표면으로부터 분리해 내어서, 연구개의 구강내 표면에서 올라온 조직의 플랩과 함께 뒤쪽으로 변경시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