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terned Elicitation Syntax Screening Test(PESST) 패턴화된 유도 구문선별검사: 3~7;6세 지연 모방 형식을 이용해서, 44개의 구문 구조를 평가.
patterning 형태화하기, 모방하기: 1. 샘플이나 모델을 모방하는 것. 2. 구어 및 언어 훈련에서 하나의 보조물로서 발화 전체나 특정한 언어구조를 사용하는 연습의 형태; 예) this is a boy; this is a dog; this is a cat. modeling 참조.
Pausaid 포우세드: 환자의 구어를 보다 명료하게 만드는 소형기기. 계속되는 발성을 감지하고, 들을 수 있는 신호(audible signal)로 환자를 촉구하며, 발화시에 규칙적인 멈춤(stops)을 할 수 있게 하며, 목에 부착하는 형태의 마이크로폰(throat microphone)이 있다. 치료사는 발성, 쉼의 길이, 기기의 민감도를 바꿀 수 있다.
pause 쉼, 휴지(休止): 1. 잠시 멈춤. 청자에게 어떤 생각의 끝이라는 신호로 구 혹은 문장의 끝에서 말하려고 하는 중요한 단어를 강조하기 위해서, 방금 말한 단어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또한 말의 내용에 적합한 단어를 선택하기 위하여 발화 없이 휴지기를 가지는 것이다. 숨 돌림이라는 뜻을 가지기도 한다. 정상적인 비유창성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그 빈도가 자주 있거나, 비일상적인 얼굴표정, 찡그림, 고정된 입모양 등을 수반할 때, 비정상적으로 시간이 너무 길거나, 비일상적인 장소에서 나타날 때, 높은 비율로 나타날 때 병리적인 비유창성으로 본다. 2. 소리를 내지 않는 고정 혹은 폐쇄를 의미한다. 소리는 나지 않고 조음포즈와 후두포즈는 취하지만 고정이 연장된다는 견지에서는 연장의 범주 속에 포함시킨다. 화자의 발성과 구분되는 연합침묵(joint silence: 화자와 청자에 의해)의 간격.
pausing 쉼, 쉬기: prolonged speech 참조.
pausing technique 휴지 기법: 발화 중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휴지(절 또는 문장 경계에서)를 연장시키고, 추가적으로 낱말 또는 구 사이에 휴지를 더 많이 삽입하기 위해 설계된 기법이다. 또한 휴지/구 형성 기법은 발화 길이를 2~5음절로 제한시킬 수 있다. 이 기법은 말더듬 발생 빈도를 경감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pausing without blocks 폐쇄 없이 쉬는 것: 정상인에게서도 보이는 현상이지만, 말더듬인들에게서 폐쇄 없이 쉬는 것에는 연장이나 소리가 나지 않는 쉼이 있는데 연장은 음/음절 연장이 있고 소리나지 않는 연장이 있으며 소리가 나지 않는 쉼에는 그 말이 비정상이라고 생각될 정도의 소리가 나지 않는 지속시간을 나타낸다. 쉼은 일반적으로 장애가 없어도 말 도중에 아무 신체적 수반행동 없이 쉬는 것을 말한다. 쉼도 일종의 폐쇄에 속한다. 폐쇄 없이 쉬는 것은 말더듬에 속하지 않는다.
Pavlovian conditioning 파브로브식 조건화: classical conditioning 참조.
PB words 음소적으로 균형을 맞춘(phonetically balanced)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