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ndard earmold 표준형 이어몰드: 가장 구형의 귀형으로, 보울(bowl)이 이갑개를 완전하게 채우고 있다. 어떤 유형의 수신기라도 맞출 수 있으나, 주로 체형(body) 보청기에 사용된다. earmold 참조.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SEM) 측정의 표준오차: 만일 수 회에 걸쳐서 아동의 어떤 특성들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결과적으로 점수의 분포가 생길 것이고 평균과 편차를 계산할 수 있을 것이다. 반복된 측정에서의 빈도 분포에서 수치의 변화는 측정의 오차의 범위를 나타낸다. 이 통계에 대한 제곱근을 측정의 표준오차라고 부른다. 표준오차는 어떤 검사점수를 해석할 수 있는 확실성이나 신뢰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표준오차는 그 검사의 신뢰도가 완전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어떤 개인의 검사점수에 반영될 가능성이 있는 오차의 양을 추정한다.
standard language 표준 언어: 특정한 언어의 수용된 형식. language 참조.
standard reference 표준 참조: 청각학에서, 강도, 주파수 음압 등에 관한 비교 척도(scale)를 위한 기준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수치로서 나타낸 값. 예) 0.0002 dyne/cm2는 음압계의 표준 참조점이다
standard score 표준점수: 표준화된 검사에서 모집단의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도출된 점수이다. 통계학 용어로서 표준득점이라고도 한다. 평균치와의 차를 표준편차의 단위로 하여 측정한 것을 나타낸 득점이다. IQ점수와 유사하다. 표준점수는 전체검사에 대하여 뿐만 아니라, 각 하위검사에 대한 성취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출되었다. 표준화된 점수도 산출 점수에 속한다. 원점수는 그 자체로서는 개인의 성취 수준에 관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거의 없다. 원점수를 몇몇 표준과 비교할 때, 그 점수가 의미 있는 것이다. 원점수들은 설정된 기준집단의 성취도 수준과 한 개인의 성취도 수준을 비교하도록 변환점수(derived score)로 환산될 수 있다. 표준점수는 ①표준적인 표본 내에서 그 개인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고, 그래서 다른 사람들과 참조하여 그 개인의 성취도를 평가하도록 한다. ②다른 검사들이나 하위검사에서 얻은 그 개인의 성취도와 비교하도록 하여 비교 가능한 측정을 제공한다.
standard speech sound 표준 구어음: 모국어를 사용하는 화자들이 어떤 특정음이나 음의 결합을 산출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모국어 화자가 구어음이 표준적인 것이 아니라고 주장할 경우에, 그 음은 비표준음으로 판단된다. standard word 참조.
standard test 표준검사: 표준화된 검사. standardized test 참조.
standard theory 표준 이론: Chomsky(1965)가 제안한 변형문법의 초기 형태. 이 이론에서, Chomsky는 일련의 변형을 통해, 표층구조가 나타나게 된다는 심층구조를 제안하였다. 말로 하거나 글로 쓰인 것은 표층구조이다.
standard word 표준단어: word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