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표준화

standardization

standardization 표준화: 일반화라는 용어와도 연관되는 것으로, 어느 환경에서라도 결과가 상통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이 검사를 실시하였을 때와 다른 검사를 사용했을 때의 결과가 같거나 거의 비슷하게 나타나는 검사를 표준화된 검사라 한다. 또 하위검사에서 얻어진 결과를 해석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제공해 준다. 검사에 있어서 그 결과를 해석하는데 의미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기준 집단에 대하여 표준화하는 것이다. 검사들은 표준화된 조건 하에서 실시되어야 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검사가 실시되는 장소의 소음, 조명, 습도, 온도, 검사반응 요령에 대한 설명 등이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동일한 검사를 실시할 때마다 검사시간, 소음, 조명, 온도 및 지시사항에서 많은 차이가 난다면 아무리 그 검사가 잘 만들어졌다하더라도 검사 점수를 신뢰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검사의 점수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지능검사를 실시할 때 대부분의 피검사자는 외부에서 소음이 많이 나는 시끄러운 장소보다는 조용한 교실에서 검사를 받을 때 더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다. 물론 모든 검사가 완벽하게 동일한 표준화 조건 하에서 실시될 수는 없다. 실내온도, 습도, 조명 및 소음 등을 매번 동일하게 만들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다행스럽게 이를 동일하게 만들다 하여도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자도 동일한 사람으로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물론 집단검사인 경우는 지시사항도 테이프를 틀어서 하게 되면 검사자가 검사에 미치는 영향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표준 문단

standardized passage

standardized passage 표준 문단: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출현 빈도에 맞추어 포함되어 있는 문단이다.   

표준화된 검사

standardized test

standardized test 표준화된 검사: 1. 실험적으로 선택된 자료들로 구성된 검사로써, 검사의 사용에 대한 명확한 지시사항, 적절하게 결정된 규준(norms),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데이터들이 있어야 한다. 2. 표준화 절차를 밟은 검사. 어떤 개인의 수행력을 동일한 생활 연령의 다른 사람의 수행력과 비교할 수 있다. 3. 검사 실시의 조건․방법 등을 자세히 정하여 평가와 기준을 만든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객관성이 있는 검사. 지능 검사, 적성검사, 학력검사, 인격검사 등이 있음. Syn: norm-referenced tests 

서기 프로그램

standing program

standing program 서기 프로그램: 바른 걷기 자세에 필요한 다리와 몸통을 준비시키거나 독립적으로 설 수 없어 나타나는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계획된 프로그램이다. 이 자세에서는 아동이 직립을 유지하기 위해 중력에 대항 할 필요가 없어 불필요한 움직임이 감소한다. 

정상파(定常波), 정지파

standing wave

standing wave 정상파(定常波), 정지파: 1. 동일한 주파수와 진폭의 음파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산출된 파. 비방음실(non-soundproof room)에서 산출되면, 그 결과로 생기는 진폭이 어떤 지점에서는 0이고 어떤 지점에서는 배가 될 수 있다. 2. 압축과 희박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된 정적인 파형으로, 무대에서 일어난 소리를 강당(auditorium)의 어떤 지점에서는 들을 수 없다. 정지파는 두 개의 파들의 중첩이 일어날 때 결과하는 반사파의 마루(peaks)와 골(valleys)이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wave 참조.

스탠포트-비네 지능 검사

Stanford-Binet Intelligence Scales

Stanford-Binet Intelligence Scales 스탠포트-비네 지능 검사: 아동의 지능 수준을 검사하는 평가도구. Binet은 프랑스 심리학자인 Theodore Simon(1873-1961)의 도움을 받아 1905년에 초판 검사를 출판하였다. 이 검사는 전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이후에 영어로 번역되었다.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진 이 검사는 Stanford University의 Lewis Terman이 번역하며 개정되었다. Terman은 이 검사에 지능지수를 도입하였고, 독일의 심리학자인 Stern은 IQ 척도를 제안하였다. 이 검사는 1916년 이래로 계속적으로 3번 개정판이 나왔다. 최근의 개정판(개정4판)은 1985년에 출판되었다. 개정4판의 연령대(2세에서 성인기까지)는 다른 개정판과 비슷하다. 이 검사는 4개 영역을 평가한다. ①인지 능력, ②구두 언어적 추론, ③수량적 추론, ④추상적/시각적 추론 및 단기 기억. 이 검사는 15개의 하위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어휘력, 이해력, 구두 언어적 관계, 패턴 분석, 행렬, 종이 접기 및 자르기, 베껴쓰기, 수량, 숫자 시리즈, 방정식 계산(equation building), 숫자기억, 문장, 사물, 구슬(bead) 등의 기억 등이다. Binet검사에서는 검사결과를 의미 있게 해석하기 위하여 두 가지 중요한 개념이 고안되었다. 하나는 정신연령(MA)이고 다른 하나는 지능점수(IQ)이다. 정신연령은 생활연령과(CA) 대조되는 개념이다. Binet는 지능이 연령에 따라 발달한다는 기본입장에 입각하여 각 연령의 아동들에게 적절한 수준의 문항들을 골라서 검사를 구성하였다. Stanford-Binet 검사에서는 한 연령 당 6개의 문항들이 배정되어 있어 한 문항에 정답을 할 때마다 정신연령이 2개월씩 가산된다. 만약 어떤 아동이 6세에 해당되는 문항을 전부 정답을 하고 7세에 해당되는 문항은 전혀 정답을 하지 못했다면 그 아동의 정신연령은 6년+3x2개월+1x2개월=6년 8개월이 된다. 이로 볼 때 정신연령은 지능검사로부터 산출된 개인의 지적 연령이라고 할 수 있다. 지능지수의 개념은 독일의 심리학자 Wilhelm stern에 의해서 제안된 것을 Terman이 지능검사의 결과를 나타내는 지표로 도입하였는데 정신연령과 생활연령 간의 비(比)로 표현된다. 즉 IQ=MA/CAx100이다. 따라서 정신연령과 생활연령이 같으면 지능점수(IQ)는 100이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판을 전용신이 번안하여 고대-Binet검사를 제작하였다. 

스테나인, 십분위 수

stanine

stanine 스테나인, 십분위 수: 표준점수와 유사하게 해석되는 표준점수이다. 스테나인은 특정한 연령 수준에서의 평균 성취도를 나타내는 평균 5와 표준편차 2를 갖고 있다. 득점을 정규분포를 기초로 해서 9단계로 구분했을 경우의 1구분, 5점을 중위(中位)로 하고 최고 9점에서 최저 1점으로 되어 있음. 스테나인은 비록 표준점수와 비교할 때 질이 낮은 측정단위를 나타내지만, 측정의 오류로 인한 문제들을 피할 수 있다. 스테나인은 검사 성취도를 보고할 때 간단하고 편리한 방법을 제공한다. 1942년에 미국공군항공기 승무원의 적성기능을 종합적으로 검사하기 위하여 이 채점법을 썼다.

등골적출술, 등골제거술, 등골절제술

stapedectomy

stapedectomy 등골적출술, 등골제거술, 등골절제술: 질환이 있거나 고착되어 있는 등골을 제거하는 수술로 보철장치가 뼈를 대신함. 침골과 난원창 사이에 인조(synthetic) 보장구를 대치시킨 이후에 실시하는 수술을 통한 등골의 제거로서, 이경화증으로 인한 병변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등골 음향 반사

stapedial acoustic reflex

stapedial acoustic reflex 등골 음향 반사: acoustic reflex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