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등골족판

stapedial foot plate

stapedial foot plate 등골족판: 등골의 끝부분으로 달팽이관의 난원창과 맞닿아 있다.

등골 반사

stapedious reflex

stapedious reflex 등골 반사: stapedius reflex 참조.

등골근

stapedius muscle

stapedius muscle 등골근: 3개의 이소골 중 일부인 등골의 목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작은 근육으로, 높은 강도의 소리에 반응하여 수축하는 과정을 통해 이소골 연쇄를 경직시킨다. 즉 큰 진동이 울리면 이 근육이 반사기전에 의하여 수축함으로써 제동 작용을 한다. 안면신경의 가지가 지배하고 있어, 안면신경이 마비될 경우 등골근이 마비되어 청각장애가 일어날 수 있다.

등골반사

stapedius reflex

stapedius reflex 등골반사: 큰소리에 대한 반응으로 등골근이 수축함.

등골

stapes

stapes 등골: 이소골 연쇄를 구성하고 있는 3개의 뼈 중에서 세 번째에 있고, 가장 작은 뼈이다. 침골과 이어져 있고, 중이로부터 내이로 음파를 전달하기 위해 난원창으로 향해 있는 등골의 족판을 움직인다. 등골은 횡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어느 정도의 음 에너지를 흩뜨림으로써 음의 강도를 조절한다. 대부분의 전도성 난청의 경우(주로 이경화증)는 등골의 손상을 포함한다. ear 참조.

등골 가동술, 등골 유동술, 등자골 수동술

stapes mobilization

stapes mobilization 등골 가동술, 등골 유동술, 등자골 수동술: 이경화증으로 인해 난원창에 고착되어진 등골판의 움직임을 회복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수술 기법.

스타셋

Starset

Starset 스타셋: 사용자가 concept keyboard를 사용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산출하거나 응용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시작계교

starter(s)

starter(s) 시작계교: 말더듬에서, 말더듬인이 자신이 말하려고 의도한 단어를 시작하기 위해서 막힘(폐쇄, block)을 깨트리려고 하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눈 깜빡거림, 팔 흔들기, '어, 어'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는 것 등의 모든 수단들. 시작계교에는 구두 및 비구두 행동에 대한 복잡하게 얽힌 시간 맞추기(intricate timing)가 포함되는데, 거기에는 이미 정상적으로 말한 단어의 반복에서부터 공포를 느낀 단어에서 빨리 시작하는 것(running start), 머리를 젖히는 것, 또 앞으로 말을 한 단어에 필요한 조음 기관의 예비동작을 취하는 것 등에까지 범위가 광범하다. 갑작스런 체어나 눈 깜짝임, 턱 경련, 기타 여러 가지 동작 등이 구어시작시기에 맞추어 나타난다. 말더듬인이 종종 일정한 기간 동안 연기를 한 뒤에 어떤 단어를 시작하기 위하여 말더듬인이 사용하는 행동이다. stuttering 참조.

놀람반사, 경악반사

startle reflex

startle reflex 놀람반사, 경악반사: 큰 소리에 자동적으로 반응하는 아기의 반응. 점프하는 반응과 갑작스런 움직임. Moro reflex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