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유산, 사산

stillbirth

stillbirth 유산, 사산: 임신 기간 20주 이후에 태아가 자연유산되는 것. 태아의 질병이상, 태반이나 탯줄의 이상, 난산, 임신중독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abortion, miscarriage 참조.

자극성, 자극력, 자극 모방력

stimulability

stimulability 자극성, 자극력, 자극 모방력: 오조음 된 음이 모방을 통해 정확하게 산출될 수 있는 정도. 시각, 청각 등의 자극을 제시할 경우 어떤 음의 산출이 가능한지 여부를 알아보는 것으로써 이 능력은 치료를 받지 않고 자발적으로 교정을 할 수 있는 가능성과 치료의 예후를 짐작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자극반응도 과제

stimulability task

stimulability task 자극반응도 과제: 아동에게 임상가의 발음을 관찰하고 모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뿐 아니라 말소리 과제에서 성공을 경험할 기회는 제공한다.

자극성 검사, 자극반응도 검사

stimulability testing

stimulability testing 자극성 검사, 자극반응도 검사: 자극반응도검사는 단서나 자극이 주어졌을 때 피검자가 오조음한 음소를 정조음 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 표적음을 포함하고 있는 음, 음절, 혹은 단어의 청각, 시각, 촉각적 모델을 제시한 후 표적음의 산출을 요구하는 것으로 구성된 검사. 만일 아동이 독립음 혹은 무의미 음절 혹은 단어에서 표준 모델음을 모방함으로써 자신의 조음 오류를 바르게 낼 수 있다면 일반적으로 그 음의 궁극적인 습득을 방해하는 심각한 기질적인 장애는 없다. 자극 능력이란 또한 예후가 좋다는 징후이다. 검사자의 표준발음을 모방함으로써 자기들의 조음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아동은 그렇지 못한 아동들보다 치료에서 훨씬 더 빨리 개선된다. 자극성검사는 아동이 여러 음에 장애가 있을 때 어느 음을 먼저 치료할 것인가 하는 순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며 또한 이용할 치료절차의 형태를 제시한다.

자극-주파수 이음향방사

stimulas-frequency otoacoustic emission

stimulas-frequency otoacoustic emission 자극-주파수 이음향방사: 음들이 저강도 수준에서 제시된 자음 순음 자극으로 유발되며, 종종 주파수 영역을 느리게 지나면서 변한다.

자극변화

stimulation

stimulation 자극변화: 음의 음소적 성분 지각 능력을 높이고 표적음의 청각적 모델을 내면화하는 것.

자극조절, 자극 통제

stimulus control

stimulus control 자극조절, 자극 통제: 어떤 행동은 특별한 자극이 없을 때보다는 있을 때 더 잘 나타남

자극 제시 시간

stimulus exposure time

stimulus exposure time 자극 제시 시간: 실험과제에서 어떤 자극을 제시할 때, 그 자극이 나타났다가 사라지기까지 제시되는 시간을 말한다.

stimulus frequency otoacoustic emissions(SFOAE)

stimulus frequency otoacoustic emissions(SFOAE)

stimulus frequency otoacoustic emissions(SFOAE): otoacoustic emissions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