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자극 일반화

stimulus generalization

stimulus generalization 자극 일반화: 이전에 학습할 때 제시된 자극이 아닌 다른 유사한 자극(사람, 장소, 학습자료)이 제시된 때에도 그 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함. 예를 들면, 야구공과 배구공을 보고 "공"이라고 배운 학생이 농구공을 보고도 "공"이라고 말하는 것을 의미함.

자극 과다 선택

stimulus overselectivity

stimulus overselectivity 자극 과다 선택: 자폐증 환자의 경우 여러 자극이 제시되는 경우 한 가지 자극을 선택해서 주의를 집중하는 경우가 나타날 수 있는데, 이를 자극 과다 선택이라 한다. 자극 과다 선택을 자폐증 환자의 각성 수준을 조절하기 위한 전략으로 보기도 한다.

자극

stimulus pl. stimuli

stimulus pl. stimuli 자극: 유기체로부터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그 유기체의 외부 및 내부 환경에 존재하는 모든 것. 내부 또는 외부의 모든 조건의 변화가 자극이 되지만 어느 정도 이상의 강한 자극만이 반응을 일으킨다. 자극의 효과는 반응의 상승(흥분) 또는 저하로 나타난다.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최소 자극의 강도를 자극역치라고 하며, 그 역수를 그 기관의 자극도 또는 흥분도의 지수로 본다. 보통 강한 자극을 가하면 반응이 커지지만 어느 한도 이상의 자극을 가해도 더 이상 반응이 커지지 않게 될 때 이를 최대 자극이라고 한다. 반응이 일어날 소지를 마련해 주는 배경으로, 물리적 개체나 행위이다. 자극은 물리적 개체나 환경 내에서 발생되는 사건이 될 수 있다. 자극으로는 장난감, 탁자, 사람, 언어적 지시 등, 여러 가지 제시물이 있을 수 있다. 이때 특별한 한 자극이 중요하다고 하는 것은 일정한 반응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

자극 촉구, 자극촉진

stimulus prompt

stimulus prompt 자극 촉구, 자극촉진: 제시하는 자극물에 어떤 변화나 단서(힌트)를 주어 학습자가 이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올바른 반응을 유도하는 촉구이다. 자극을 선택하는 것 자체가 표적행동을 수행하는 것이 된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파란색 중에서 빨간색을 골라야 할 경우 빨간색의 크기를 파란색보다 크게 하거나 학습자의 앞으로 밀어 두어 학습자가 쉽게 빨간색을 고르게 하는 것이다. 자극의 크기, 모양, 색깔, 강도, 위치 등을 변경하여 이것을 쉽게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자극 내 촉구(within-stimulus prompt)라고 한다. 이와 달리 자극 외 촉구(extra-stimulus prompt)는 기존 자극(자극물)에 추가로 뭔가 특별한 것을 첨부하여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쉽게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자극-반응 학습

stimulus response(S-R) learning

stimulus response(S-R) learning 자극-반응 학습: 특정 자극이 존재할 때 특정 행동을 수행하는 것을 학습하는 것으로, 고전적 조건화와 도구적 조건화가 여기에 포함된다.

자극변경 조음 프로그램

stimulus shift articulation program

stimulus shift articulation program 자극변경 조음 프로그램: 기능적 조음장애 치료기법 중 조음적 관점을 취하는 방법. 선행자극이 다양하게 바뀌며 단어, 문장, 회화수준으로 되어있음. 단어수준 이상에 적용하며, 자극의 모델이 단계에 따라 바뀌는 치료 프로그램.

자극 변화, 자극 대치

stimulus substitution

stimulus substitution 자극 변화, 자극 대치: classical conditioning 참조.

등자골

stirrup

stirrup 등자골: 등골. stapes 참조.

스토커 프로브 테크닉

Stocker probe technique

Stocker probe technique 스토커 프로브 테크닉: Stocker가 나이가 어린 말더듬인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개발한 방법이다. 이 기법으로 정상적인 비유창성과 말더듬을 구별하게 하는데, 정상적인 비유창성은 어느 수준에서든 나타날 수 있지만, 말더듬은 수준이 높아질수록 비유창성의 수가 증가함으로서 구별된다. 프로브란 어떤 틀 속에서 검사하는 도구를 나타내고 어떤 잘못된 것을 판별해 내기 위해 검사하는 도구이다. 이 프로브 기법의 목적은 ①프로브에 근거하여 말더듬인들의 심한 정도를 평가한다. ②언어기술이 발달하는 아동기에서 나타나는 정상적인 비유창성을 일시적으로 경험하는 아동들과 실제로 확실하게 말을 더듬는 아동을 가능한 빨리 구별하는 것이다. ③매 주마다 한번씩 계속적으로 그 아동의 유창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④아동에 대한 주간의 진행과정을 기록할 뿐만 아니라 그 시기에 치료의 수준을 치료사가 결정하도록 돕는다. 즉, 치료의 시작점을 제시하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