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y grammar 이야기 문법: 이야기의 전개가 얼마나 짜임새 있게 표현되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야기를 이야기 문법으로 분석하는 것은 이야기의 조직화 정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Stein과 Glenn은 이러한 이야기의 조직화 구조를 일곱 가지의 요소, 즉 이야기 문법으로 설명하였다. 배경을 설명한 후에는, 사건이 점점 많이 포함되면서, ‘개기사건→그에 대한 내적반응→내적계획→시도’와 같은 일련의 사건들이 몇 번 이어지거나 확장되고, 마지막에는 결말과 주인공의 감정적 반응을 설명하며 이야기를 끝내게 된다고 하였다.
story length 이야기의 길이: 아동이 이야기를 얼마나 길게 산출하였는지를 말하는 것.
story line 이야기의 개요: 줄거리 요약이라는 뜻으로 이야기의 줄거리를 간단하게 요약하여 기술한 것.
story map 스토리 맵, 이야기 구성도: 이야기를 듣고 등장인물에 대한 중요 정보와 그 속에 나타난 사건을 확인하고, 내용과 사건에서의 개념과 사실들을 결합하여 이야기를 그려가는 시각적인 도구로 이야기 텍스트의 핵심 정보를 시-공간적으로 보여줌으로 이야기가 어떻게 구조화되고 통합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story production 이야기 산출: 이야기 문법 산출과 구문 및 어휘 산출로 한정하며 이야기 문법 산출은 Stein과 Glenn(1979)의 이야기 문법 구성요소의 각 범주별 산출비율로 하고, 구문 및 어휘 산출에서는 C-unit수와 C-unit당 평균낱말길이(MLC-w: Mean Length of C-unit), 어휘다양도로 평가한다.
story reading context 독서 내용: 독서는 글을 읽으면서 텍스트의 의미를 해석하고, 문자 언어를 통해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논리적인 글을 읽으면서 논리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힘을 배우며, 정서적인 글을 통해서 인간과 삶의 다양한 모습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story recall 이야기 회상: story retelling 참조.
story retelling 이야기 다시 말하기: 이야기를 읽거나 들은 후 그 이야기를 기억하고 회상하여 말하는 것을 뜻한다. 기억 관련 신경학적 평가 항목중 하나로, 일상적인 기억 기능과 가장 유사한 기억기능을 측정한다는 것으로 언어발달에서 사용되는 비공식적 평가, 이야기 문법, 결속표지, MIT-w 등을 평가하기 위한 발화자료 수집방법.
story retelling procedure 이야기 다시 말하기 절차: 연결 발화산출을 유도하고,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