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길거리 사용역

street register

street register 길거리 사용역: 아프리카계 미국인 문화에서 해당 문화의 아동이 학교와 길거리에서 또래에게 말하는 편안한 방식의 언어스타일을 말한다.

강도, 강한 정도

strength

strength 강도, 강한 정도: 어떤 물질의 성질이 나타내는 굳은 정도나 센 정도.

근력증가

strengthening

strengthening 근력증가: 문제 해결 학습 과정 중 하나로, 한 조작자가 성공적으로 문제 상태를 바꾸었을 때 그 강도가 늘어나도록 한다. 증강 과정 때문에 문제 해결에 있어 한 조작자를 다른 조작자보다 더 선호하게 된다.

강세, 강도, 스트레스

stress

stress 강세, 강도, 스트레스: 1. 다른 음절과 비교해서, 한 음절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움직임의 힘(force)이나 강도(strength)의 양으로, 일반적으로 동일한 단어 내에 있는 다른 음절보다 강세가 있는 음절이 더 길고 더 크게 소리난다. 언어음(言語音)은 음성기관의 작용에 의하여 강약이 있는데, 음성이 연속될 경우 어떤 부분은 강하게 발음한다. 국제음성기호에서는 모음 위에 '를 붙여서 제1강세를, `를 붙여서 제2강세를 나타낸다. 한국어에는 강세 현상은 있어도 강세 악센트는 없다. 2. 한 개의 음절이 다른 음절들보다 더 강하게 산출됨으로써 나타나는 강도에서의 변화. 3. 정신적인 긴장 상태. suprasegmental phonology 참조. hysteria 참조.

강세 활성화

stress actualization

stress actualization 강세 활성화: Wingate가 제시한 이론으로 치료에 직접 적용한 것이다. 말더듬인들이 쉽게 소리를 낼 수 있도록 격려하기 위해서 노래하기와 Froeschel의 음성 씹기(voice chewing) 기법과 같은 방법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서 구어의 멜로디와 언어적인 강세의 효과적인 사용을 개발하도록 도와주는 지도도 한다.

강세 대조

stress contrast

stress contrast 강세 대조.

강세 패턴

stress pattern

stress pattern 강세 패턴: 말하고 있는 것의 의미를 부각시키는 언어에서 인식 가능한 강세 패턴.

스트레스 테스트

stress testing

stress testing 스트레스 테스트: 주어진 시스템이나 실체의 안정성을 결정하기 위해 진행되는 신중하고도 면밀한 테스트이다. 결과 관찰을 목적으로 이따금은 한계점에 이를 만큼의 일반적인 운용 능력을 넘어서는 테스트를 수반한다.

강세박자 언어

stress-timed language

stress-timed language 강세박자 언어: 영어와 같이 강세를 받는 음절수에 따라 발음하는 시간이 결정되는 언어. 즉 음절의 개수가 아닌, 강세가 있는 음절 다음에 강세가 있는 음절이 나올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한 박자로 발음한다. 중간에 강세가 없는 모음은 약모음(schwa)으로 처리한다. syllable-timed language, unstressed syllable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