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essed syllable 강세 음절: 연속된 음성에서 강하게 발음하는 부분. 음절을 산출할 때 근육의 노력이 증가하고 성문하압이 증가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stressor 스트레스 요인: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유기체의 내적 또는 외적 사건이나 자극.
stretch 신장: 건, 근육을 늘리는 것을 의미한다.
stretch reflex 신전 반사, 뻗침 반사: 근육을 신전함으로써 근육의 긴장도(tonus)가 증가되는 반사. 근육의 건(tendon)을 가볍게 쳤을 때 일련의 근육이 수축하는 현상을 말한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슬개건 반사와 아킬레스건 반사를 들 수 있으며 슬개건 반사는 대퇴사두근의 건이 슬개골 밑에 붙어 있으므로 슬개골하를 가볍게 치면 대퇴사두근이 수축되어 하지가 올라가고 아킬레스건 반사는 비복근과 장딴지근의 수축이 일어나 족관절의 저척굴곡이 일어난다. 교근과 측두근에서 일어나는 하악반사로는 제 5뇌신경(삼차신경이 이러한 근육들을 지배하고 있으며 반사궁을 이루고 있다. 반사를 검사하려면 입을 약간 벌리고 있는 상태로 턱의 치아 부분 위에 검사자의 손가락 하나를 놓은 다음 고무망치(해머)로 검사자의 손가락을 살짝 친다. 반사가 일어나면 입을 다물게 된다. 반사가 일어나지 않거나 약한 경우에는 제 5뇌신경의 경로를 따라 병변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반사의 항진은 상위운동 신경의 병변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reflex 참조.
stretched syllables 길게 뺀 음절, 연장된 음절: 정밀 유창성 형성.
stria vascularis 혈관선조. 혈관조: 와우관에서 와우축과 반대 방향인 외측 벽에 있으며, 내림프의 분비와 영양에 관여한다. 중간계의 바깥쪽 벽을 따라 있는 혈관 띠. 내림프의 방출과 흡입을 담당하고, 코르티 기관에 산소와 영양물을 공급한다.
striated muscle 가로무늬근: 이런 유형의 근육은 골격근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 근육은 체성신경계(somatic nervous system)에 의해 지배된다.
striation 세로선: 무성음을 스펙트럼으로 분석하면 세로선이 강하게 나타난 다음에 음의 압력이 나타난다. 이러한 세로선을 spike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무성음 중에서 /파/를 발성할 때 잠시 숨을 멈추고 입술이 붙을 때 생성되는 음이 세로선이다.
striatum 선조체: 기저핵의 한 부분으로, 조가비핵와 미상핵으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