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uctural priming 구문 점화: 문장을 산출할 때 자신이 방금 들은 것과 같은 구조의 문장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의미나 어휘와 상관없이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한다.
structure 구조: 구조란 조합, 조직, 체계 등을 의미하지만 주로 부분과 전체 또는 부분 간의 관계를 문제로 삼는다. 가족치료에서는 가족 전체와 그 부분인 가족성원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가족성원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다른 가족성원과 관계를 가진다. 이러한 관계는 그들이 가진 일정한 규칙에 의해서 규정되어진다. 치료자는 이러한 규칙을 명확히 함으로써 가족의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이 구조는 체계의 조직을 변화시킬 뿐 아니라, 광범위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언어학에서, 문장 내에 있는 형태소들 간의 관계. 심층구조(기본구조, 기저구조), 중간구조, 표층구조 등이 있다.
structure based model 구조에 의한 모델: Jakobson과 Moskowitz는 옹알이와 초기의 말에 대한 이론적 설명을 위해 구조주의 언어학자의 이론을 도입하였다. Jakobson은 음운 발달이 변별자질과 음소 단위로부터 시작하여 이보다 더 큰 단어와 문장으로 진행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Moskowitz는 음운 발달이 문장 단위의 인식으로부터 출발하여 점차 작은 단위로 진행된다고 하였다.
structure word 구조 단어: 기능 단어. 기능어. function word 참조.
structured exercises 구조화된 과제: 대상자들에게 조사하고자 하는 소리들이 포함된 단어 목록, 문장 또는 구를 소리 내어 읽게 한다.
Structured Photographic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Test(SPAT-D): 아동들의 조음 기술들에 대한 체계적 평가. 48장의 사진들을 사용하여 59개의 자음 싱글톤(singleton)과 21개의 자음군(blend)을 평가한다. 문맥에서 어음들을 쉽게 유도해 낼 수 있다.
Structured Photographic Expressive Language Test-II(SPELT-P) 구조화된 사진을 통한 표현언어검사-II: 4~9;5세 아동의 50개 컬리 사진들이 형태론 및 구문론의 표현적인 사용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됨.
Structured Photographic Expressive Language Test-P(SPEL-P): 3~5;11세 37개 사진을 이용하여 25개 항목으로 초기에 발달하는 형태론적 및 구문론적 양상을 만들어내는 어린 아동들의 능력을 평가함.
structured programming 구조화된 프로그래밍: 과제를 기능적 단위(units)나 구조(module)로 나누고 이러한 구조들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어떤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방법. 이것을 top-down programming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