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말더듬 단계

stuttering stages

stuttering stages 말더듬 단계: 말더듬인이 경험하게 되는 비유창성의 다양한 발달단계. ①primary stuttering stage 일차성 말더듬 단계: 흥분(emotion)이나 스트레스를 수반하지 않으면서 문장의 첫 단어나 음절을 힘들이지 않고 반복하고, 정서나 스트레스의 징후를 수반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어떤 언어치료사들은 이러한 행동들을 진짜 말더듬으로 간주하지 않기도 한다. Syn: incipient stuttering. ②transitional stuttering stage 전이 말더듬 단계, 과도기 말더듬 단계: 일차성 말더듬 단계와 이차성 말더듬 단계 사이에 일어나는 말더듬 단계로서, 이 단계 동안에는 문장 내에서 단어와 음절을 힘들이지 않고 하는 반복과 연장을 수반하며, 놀람, 좌절, 투쟁, 회피 등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이차성 말더듬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③secondary stuttering stage 이차성 말더듬 단계: 말더듬인이 자신의 비유창성을 깨닫고 의식적으로 그것을 수정하려는 시도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종종 말더듬과 관련된 예기와 공포를 느끼는 과정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말더듬 이론

stuttering theories

stuttering theories 말더듬 이론: 말더듬의 발생 및/혹은 말더듬의 순간이라는 이슈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에 따라 분류된 주요 말더듬 발달에 관한 이론.

말더듬 유사 비유창성

stuttering-like disfluencies

stuttering-like disfluencies 말더듬 유사 비유창성: Ambrose & Yairi(1999)에 의한 비유창성 분류. 단어 부분 반복, 단음절 반복, 리듬 없는 반복, 긴장 쉼이 포함된다. 이와 대비되는 용어인 기타 비유창성(other disfluency)는 다음절 단어 반복, 구 반복, 삽입, 수정, 미완성 구가 포함된다.

스티카 청력 검사

Stycar Hering Test

Stycar Hering Test 스티카 청력 검사: 생후 6개월에서 7세 사이의 아동들의 청력을 검사하기 위해 Mary Sheridan이 고안한 청력평가. 이 검사에서는 매우 간단하고 잘 아는 사물, 단어, 그림 등을 이용한다. 이 검사의 목적은 상이한 음도와 강도로 제시되는 의미 있는 구어를 듣는 아동의 능력을 검사하는 것이다. 이 검사는 서로 다른 연령 집단에 따라 적용되는 여러 개의 상이한 하위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위검사들은 toy tests, cube tests, doll vocabulary, 그림어휘, 단어 리스트 및 문장 등의 형식을 취한다. 따라서 검사자는 아동이 듣는데 어려움을 나타내는 음이 어떤 것인가를 확인할 수 있다.

스티카 검사

Stycar Tests

Stycar Tests 스티카 검사: 1973년에 Mary Sheridan이 고안한 검사. 이 검사는 출생~5;0세까지의 정상적인 발달을 나타내는 일련의 평가들이다. 발달과 관련된 4개의 매개변인들 즉, 운동력, 시력, 듣기 및 구어, 사회성 및 놀이 발달 등을 검사한다.

유형

style

style 유형: 공통되는 성질이나 특징을 가진 것들을 묶은 하나의 틀. 유개념의 하나. 단순한 추상 개념이 아니고 어떤 현상의 공통적 성질을 형상으로 나타내며, 추상적인 보편성과 개별적인 구체성이 통일 되어 있는 것을 이른다.

스타일 변경

style shifting

style shifting 스타일 변경: 공식적 스타일에서 비공식적인 스타일로 변경하듯, 말하는 스타일을 바꾸어가는 과정.

경돌설근, 경상설근

styloglossus muscle

styloglossus muscle 경돌설근, 경상설근: 측두골의 경돌돌기로부터 혀의 가쪽 경계에 부착되며 혀를 들어 올리고 끌어내린다. tongue에서 Muscles of the Tongue 표 참조.  

경돌설골근, 붓목뿔근

stylohyoid muscle

stylohyoid muscle 경돌설골근, 붓목뿔근: 하악골의 후방에 위치하며 두힘살근의 뒤힘살과 비슷한 주행을 한다. digastricus muscle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