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yloid process 경돌돌기, 경상돌기: 축두골로부터 아래쪽 및 앞쪽으로 펼쳐진 머리뼈에 있는 돌출부로서 길이가 2cm이고 너비가 3mm 정도이다. 연하와 관련된 근육인 경돌설근(styloglossus m.), 경돌인두근(stylopharyngeus m.), 경돌설골근(stylohyoid m.) 등 3가지 근육이 있다.
stylopharyngeal muscle 경상인두근: 경상돌기(styloid process)의 기저에서 기시하고, 이 근육 섬유들은 인두와 갑상연골의 측면으로 삽입한다. 이 근육은 후두를 위로 올리고, 음식물 덩어리를 식도로 내려보내기 위해서 인두를 확장하게 한다. mylohyoid muscle 참조.
sub- 아래의, 하위의: 아래, 아래쪽의, 정상 혹은 일반적인 것보다 조금 적은 등을 나타내는 접두사.
sub-acute otitis media 아급성중이염: 급성과 만성 사이의 중이염을 뜻한다. 대략 3주에서 8주 정도까지 지속되는 경우이다.
sub-vocalization 속발음: 속으로 말을 하는 것. 난독증인은 읽기학습에서 좌뇌에 정상 읽기회로가 형성되지 않고 우뇌의 후두-측두 영역과 우뇌 전두 영역을 연결하는 보상 읽기 회로가 만들어진다. 이들은 읽을 때 속발음을 읽기 보조 수단으로 이용하며 이로 인해 브로카영역의 과활성화가 나타난다.
subarachnoid space 지주막하 공간: 뇌척수액(CSF)를 담고 있고 지주막으로 둘러 싸여진 공간. 소낭성 동맥류(berry aneurysms)(cerebrovascular accident 참조)로 인해 지주막하 공간으로 혈액이 흘러들어 갈 수 있다.
subclavius muscle 쇄골하 근육: respiration에서 Muscles of Respiration 표 참조.
subcortical aphasia 피질하 실어증: 청각언어중추 이전의 구심로(求心路)로 향하는 충동을 억제하는 병변에 의한 실어증.
subcortical motor aphasia 피질하 운동실어증: 청각 이해력, 읽기, 쓰기 등에는 손상이 없으나, 조음에만 장애가 있음. 환자는 문법적으로 완전한 문장을 말할 수 있으며, 단어찾기 문제는 없다. pure aphasia에서 pure aphemia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