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상징의 사용, 상징성

symbolism

symbolism 상징의 사용, 상징성: 1. 다른 견지에서 어떤 것을 나타내는 것. 상징의 사용. 2. 상상적인(imaginative) 의미를 가진 일반적인 사물의 대상(investment).

상징화

symbolization

symbolization 상징화: 어떤 것을 대표하기 위해 낱말이나 기호와 같은 상징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시연하게 하며 장래에 작용하게 하는 과정을 뜻한다. sensorimotor stage 참조.

대칭적 관계

symmetrical

symmetrical 대칭적 관계: 대칭성과 보완성의 개념은 베이슨에 의해 도입되었다. 인류학자인 베이슨은 뉴기니아 원주민 연구에서 개인 또는 집단의 관계가 보완적 또는 대칭적인 것을 발견하였다. 보완적 관계는 의사나 환자, 어머니와 자녀, 지배적인 사람과 순종적인 사람이 보이는 관계이다. 한편, 대칭적인 관계는 서로 경쟁을 하는 선수와 같은 관계에서 볼 수 있다. A의 행동에 대하여 B가 비슷한 반응을 일으키는 것에 의해서 변화가 증폭 또는 상승되는 관계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A가 B에게 불만을 말하면 B가 보다 강한 강도로 A에게 불만을 토로한다. 결과적으로 B에 대한 A의 불만은 더욱 증폭된다. 가족치료의 경우 대칭적 관계는 부부간의 세력 경쟁에서 자주 보이는 것으로 두 사람의 파트너가 같은 수준에 있는 것을 동의할 수 없을 때 일어난다. 두 사람이 서로 우세한 입장에서 서려고 경쟁하는 것이다. 즉, 상대보다 위에 있을 때만 안심하는 것이다.

대칭성

symmetry

symmetry 대칭성: 발성 시 양측 성대 진동이 각각 대칭적인지, 비대칭적인지 관찰. 양측성대의 움직임이 진폭, 위상(phase) 모두 대칭.

양측 성대 진동의 대칭성

symmetry of vocal folds mobility

symmetry of vocal folds mobility 양측 성대 진동의 대칭성: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성대의 진동 양상이 대칭적인지 여부를 관찰하는 항목이다. 발성 시 연속으로 나타나는 성대 점막의 진동의 대칭성. regularity of vocal folds mobility 참조.

교감신경의

sympathetic

sympathetic 교감신경의: "도망가기 또는 싸우기"를 위해 몸을 동원하는 자율신경계의 일부를 지칭한다. Parasympathetic(부교감신경성의)을 참조할 것.

교감신경

sympathetic nervous

sympathetic nervous 교감신경: 자율신경으로서 교감신경은 외부의 스트레스성 자극에 대하여 아드레날린이 분비되어 심장박동 수 증가, 호흡 수 증가, 동공확대, 방광확장, 침 분비 억제, 소화 억제, 혈관 수축 등과 같이 우리 신체 대부분의 기능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부교감신경과 길항작용을 한다.

교감신경계

sympathetic nervous system

sympathetic nervous system 교감신경계: 환자가 매우 흥분되었을 경우에 교감신경계는 매우 활성화된다. 따라서 교감신경계를 'fight, fright, flight' 신경계라고도 한다. 근육으로 전달되는 화학 물질은 부신분비호르몬(noradrenaline)이다. 자율신경계(ANS)의 일부분으로써, 교감신경계는 평활근을 지배한다.

공감 반응

sympathetic response

sympathetic response 공감 반응: 언어치료 대상자 및 대상자 부모에게 취해야 할 상담 태도 중 하나. 대상자의 내면적 특성에 공감적으로 반응하여 치료사-대상자 간 신뢰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 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