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 injury 자해: 죽고자 하는 의도 없이 자신의 신체를 고의적으로 훼손하는 행동, 즉 비자살적 자해(non-suicidal self-injury). 장애유아들이 나타내는 문제행동 중의 하나로, 자신의 신체에 물리적 손상을 가져오는 만성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으로 과다행동 중 가장 극단적인 범주의 하나이다. 이러한 자해행동은 중증정신지체와 같은 특정 발달장애를 가진 개인에게 더 높은 발생률을 보인다.
self instruction 자기교수: 자신의 행동을 조절할 목적으로 스스로에게 말하는 과정. 행동을 시작하거나 안내하거나 억제하기 위해 언어적 단서를 사용하는 것이다.
self instructional therapy 자기교시 치료: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언어적 통제 발달단계를 제시하였는데, 언어적 통제는 처음에는 큰 소리로 말하고 다음에는 작게 속삭이듯 말한 다음 마지막에는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마음속으로 한다는 것이다.
self instructional training(SIT) 자기-지도 훈련, 셀프-지도 훈련: 1977년에 Meichenbaum이 개발하였다. 자기-지도 훈련은 하나의 인지 행동 치료이다. 이것은 일부는 Ellis의 rational-emotive therapy(RET)에 부분적으로 바탕을 두고 있을 뿐만 아니라, 또 일부는 아동이 자신의 행동에서 내적 구어(internal speech) 및 구어-상징(verbal-symbolic) 조정을 발달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발달 연쇄(sequence)에 근거하고 있다. 자기-지도 훈련을 사용하는 치료사는 아래에 있는 단계에 따라 환자를 치료한다. ①환자에게 부적응 행동 혹은 사고를 확인하도록 훈련시킨다(자기-진술: 스스로의 다짐, 마음속의 독백). ②환자에게 긍정적이고 적절하게 반응하도록 강조하고 실패감을 감소시키는 자기-진술을 사용하는 효과적인 활동 전략을 통하여 환자와 대화를 하는 동안에 치료사는 적절한 행동모델을 보여준다. ③환자는 표적행동을 수행하고, 그것을 마음속으로 연습한 다음에 소리 내어서 적절한 자기-지도를 연습한다. 치료사는 그 행동과 연관된 불안을 일으킨 인지를 대치하는 건설적인 문제 해결력을 가진 혼자 말하기(self-talk)를 하도록 하기 위해서 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
self management 자기 관리: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려고 행동적 학습원리를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학습자 자신의 행동을 관리하고 자신의 행동을 책임지는 것이 자기관리의 핵심이며, 목표의 설정은 자기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차원이다.
self modeling 자기모델링: 관찰자가 자기 자신을 모델로 사용할 때 자기모델링(self-modeling)이라고 부른다. 목표 말소리가 자연스러운 환경으로 일반화되는 데 요구되는 능력이다.
self monitoring 자기 수정, 자기점검: 1.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상황에서 자신의 사고와 감정, 행동을 드러낼 때 스스로 자신을 주의 깊게 관찰하면서 조정하고 통제해 나가는 것이다. 대부분 대인관계에서 우리는 상대방의 반응에 주의를 기울이고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의 표현수위와 감정표현의 정도를 조정한다. 2. 행동 변화 절차로서 개인이 그 자신의 행동의 빈도나 질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절차.
self monitoring scale 자기모니터링 검사: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을 모니터하기 위해 비디오 녹화를 사용해 스스로 모니터링하게 하는 것.
self observation 자기관찰: 행동결과 뿐만 아니라 자신의 믿음을 실시간 추적하고 조사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