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의미 기억 체계

semantic memory system

semantic memory system 의미 기억 체계: 정보를 학습한 시간과는 무관한 일반적인 지식을 포함하는 기억 체계. 즉, 이 체계의 정보들은 학습하지 않으면 기억될 수 없고 시간이나 날짜와 관계없이 저장되어 있다. 의미 기억은 백과사전적 성격이 강하다. 

의미 신조어

semantic neologism

semantic neologism 의미 신조어: 기존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낱말의 합성을 말하며, 이 합성된 낱말은 이상 형태를 보이지만 종종 의미론적 해석이 가능하기도 하다.

의미망 조직, 의미망

semantic network

semantic network 의미망 조직, 의미망: 의미 정보는 장기 기억에서 개념과 개념 간의 관계를 잇는 방식으로 조직된다는 이론적 개념. 여기서 망은 비유적 표현으로 연상적인 사고나 다양한 개념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의미적 노드

semantic node

semantic node 의미적 노드: 장기기억 속에 저장된 의미 정보는 각각을 개념이라고 하는데, 이 개념을 의미망 모델에서는 노드라고 부른다. ‘빨강 사과 맛있다.’에서는 ‘빨강’ ‘사과’ ‘맛있다’3개의 노드를 가진다.

의미론적 개념 발달

semantic notion development

semantic notion development 의미론적 개념 발달: 의미론적 발달에서는 언어습득의 인지적 기초를 강조한다. 언어의 의미관계 발달(‘행위자+목적’, ‘소유자’+‘소유’), 초기 언어의 보편적 지식(“또”, “더”), 그리고 상징행동의 발달을 통해 의미론적 개념 발달 정도를 판단한다.

의미적 체제화

semantic organization

semantic organization 의미적 체제화: 인지적 체제화와는 구별하여 언어에 표현되는 의미의 체계화. 

의미착서, 의미착서증

semantic paragraphia

semantic paragraphia 의미착서, 의미착서증: 글쓰기에서 목표단어 대신 그 단어와 의미적으로 연관된 다른 단어로 대치하여 쓰는 현상. 의미착어가 많은 환자는 글씨를 쓸 때에 의미착서를 보인다. semantic paraphasia 참조 

의미 착독증

semantic paralexia

semantic paralexia 의미 착독증: 읽기에서 목표단어 대신 그 단어와 의미적으로 연관된 다른 단어로 읽는 현상. 

의미착어, 의미착어증

semantic paraphasia

semantic paraphasia 의미착어, 의미착어증: 말하기에서 목표단어 대신 그 단어와 의미적으로 연관된 다른 단어로 대치. 예를 들면, 칫솔을 보여주었을 때 ‘치약’이라고 말하거나 숟가락을 보여 주었을 때 ‘포크’라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