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의미 점화

semantic priming

semantic priming 의미 점화: 점화 및 목표 단어가 같은 의미적 범주에 속하여 같은 특징들을 공유할 때, 신경학적 네트워크의 확산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의미관계, 의미론적 관계

semantic relation

semantic relation 의미관계, 의미론적 관계: 12~24개월 아동들이 주로 나타내는 언어구조. 아동들의 초기 발화에 대한 한 가지 접근법은 아동들이 표현하는 문법 패턴의 측면보다는 의미론적 관계의 측면에서 아동들의 초기 발화를 설명하려고 노력해왔다. Brown(1973)이 제안한 의미론적 관계는 다음과 같다.행위자 + 행위 man put 행위 + 목적 kick ball 행위자 + 목적 mummy shoe 행위 + 장소 go home 실체 + 장소 book table 소유자 + 소유물 r daddy ca실체 + 속성 cup blue 지시 + 실체 that book.

의미적 관련성

semantic relevance

semantic relevance 의미적 관련성: 어휘들 간의 의미론적 관련. 주제에 따라 의미적으로 묶인 단어들이나 유의, 반의 등과 같은 어휘들 간의 관계는 의미적 관련성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의미적인 재오리엔테이션

semantic reorientation

semantic reorientation 의미적인 재오리엔테이션: 진단 기인론의 관점에서 말더듬 치료는 말더듬인에게 의미적인 재오리엔테이션, 즉 자기 자신에 대한 사려 깊은 재평가를 하도록 제안한다. 유창성과 비유창성이 말더듬인과 정상인을 이분하는 의미라기보다는 정상인에게도 비유창성이 일어나는 계속적인 의미라는 것을 깨닫도록 촉진시킨다. 

의미유형

semantic role

semantic role 의미유형: 아동이 2-3낱말 이하로 이루어진 문장을 주로 사용할 때 구문론적 분석보다 의미론적 분석이 유용하다. 이 때 분석에 의미유형이 사용되며, 이는 아동의 전반적인 의미 패턴을 찾는 것이다. 의미유형은 연구자마다 차이가 있지만 실제어와 기능어로 분류하기도 하고, 행위자, 경험자, 피동자, 대상, 장소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의미 규칙

semantic rule

semantic rule 의미 규칙: 1. 변형 문법에서, 발화가 사용되고 이해되어지는 방법을 서술하기 위한 구문론적 구조에 대한 조작적 용어. 2. 발화가 사용되고 이해되는 방법을 개념화하는 인지 형식의 하나로 심상을 조작적 정의에 의해 도식화함으로써 의미를 이해하는 규칙.

의미적 단계

semantic stage

semantic stage 의미적 단계: 그 사물의 용도나 특징에 대한 의미적인 정보를 파악하게 되는 단계. 

말더듬의 의미론적 이론

semantic theory of stuttering

semantic theory of stuttering 말더듬의 의미론적 이론: 진단기인론. stuttering theories에서 anticipatory and struggle behavior theory 참조.

의미적 투명도

semantic transparency

semantic transparency 의미적 투명도: 관용어의 문자적 의미와 관용적 의미 사이의 일치 정도를 의미한다. 일치할수록 투명도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