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감각신경의

sensorineural

sensorineural 감각신경의: 감각을 신경이나 신경 조직에 가지고 있거나 전달하는 것. 

감음신경성 민감수준 기법

sensorineural acuity level technique

sensorineural acuity level technique 감음신경성 민감수준 기법: 레인빌 기법(Rainville technique)을 변형한 것으로서, 고정된 수준에서 제시된 차폐를 이마 중앙에 설치한 골도 진동자를 통하여 이끌어 들이는 기법. 감각신경성 민감수준(sensorineural acuity level)은 정상 귀에서 발생한 역치 변화의 양에서 잡음으로 인한 역치 변화의 양을 빼서 계산함. syn. SAL test. masking techniques 참조. 

감음신경성 청력 민감도

sensorineural acuity level(SAL)

sensorineural acuity level(SAL) 감음신경성 청력 민감도: 골도 전도 잡음에 의해 야기된 기도 전도음의 역치변동검사로 이루어진 감음신경성의 측정이다. 피검자의 역치 변동은 미리 계산된 정상 변동과 비교된다.

감각신경성 농

sensorineural deafness

sensorineural deafness 감각신경성 농: 내이 혹은 내이에서 뇌간까지의 신경 통로에 병리학적 상태로 인해 발생하는 청력손실. 병변의 부위에 따라 와우 또는 와우 후반부에 있을 수 있다. 

감각신경성 난청, 감각신경성 청력손실, 감음 신경성 청력 손실

sensorineural hearing loss

sensorineural hearing loss 감각신경성 난청, 감각신경성 청력손실, 감음 신경성 청력 손실: 내이 안에서 신경충동을 일으키는데 문제가 있거나 신경충동을 뇌간을 거쳐 청각 피질로 전달하는 데 문제가 생겨 청력이 손실된 형태. 달팽이관의 손상으로 인한 청력 손실. 이것은 보청기 착용을 통해서만 청력이 개선될 수 있다. 감각신경성 청력손실자들은 자신의 음성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종종 너무 큰 소리로 말을 하게 되고, 가끔 현기증과 이명을 겪게 된다. 이들은 말소리를 듣는데 어려움을 가지게 되는데, 특히 소음이 있는 장소에서나 여러 사람들과 대화를 할 때 더욱 더 어려움을 가지게 된다. 기도-골도 차이(air-bone gap)가 나타나지 않는 반면에, 경도에서부터 중도에까지 걸쳐 청력손실의 정도는 다양하다. conductive hearing loss 참조. 

감각성 실어증

sensory aphasia

sensory aphasia 감각성 실어증: 언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장애가 주된 증후인 실어증. 남의 언어를 들을 수는 있지만, 어떤 의미인지 이해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우리말밖에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 외국어를 들었을 때와 같은 상태이다. 감각성 실어증은 피질하감각성 실어증, 피질감각성 실어증, 초피질감각성 실어증의 3종류로 분류된다. 말하려는 의도는 있지만 말로 표현하지 못하는 운동성 실어증과는 달리 자발적 발어는 가능하지만, 그 언어에 틀린 점이 많다(착어증이라고 함). 감각성 언어중추를 베르니케 중추라고 하며, 이 중추가 손상되면 피질 감각성 실어증을 일으키고, 이 중추와 청각중추와의 연락로가 손상되면 피질하 감각성 실어증을 일으킨다. 또 이 중추와 개념중추와의 연락이 손상되면 초피질 감각성 실어증을 일으킨다. 이 중에 피질하 감각성 실어증은 극히 드물다. Luria가 확인한 청각실인증적 실어증으로, 주된 장애는 구어음을 변별하는 데에 있으며, 이로 인해 단어의 의미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단어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음으로 분석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단어의 첫 음을 단서로 제시하는 방법은 이 실어증 환자에게 유용하지 못한다. aphasia 참조. 

감각성 실행증, 지각성 실행증

sensory apraxia

sensory apraxia 감각성 실행증, 지각성 실행증: 본래의 성질과 목적의 감각에 결여가 있기 때문에 대상물을 적절히 사용하지 못한다. 

감각 운동실조증

sensory ataxia

sensory ataxia 감각 운동실조증: 일반적인 근운동에는 근신장반사에 의한 제어가 교묘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때문에 근으로부터 구심성 임펄스가 근의 고유감각계에 의한 제어가 없어지면 원활한 동작은 불가능하게 되고 협응운동의 장애, 운동실조가 생겨난다. 증상으로서 Romberg's 징후에 있어서의 실조성 운동장애 즉, 서 있는 자세에서 양 발을 가지런히 붙이게 하면 하지나 체간이 흔들리고 다시 눈을 감으면 동요는 심해져서 넘어진다. 보행장애(환자는 하지를 앞으로 내던지듯이 하고 발뒤꿈치가 강하게 마루를 두드리고 발가락 부분이 마루에 부딪히는 double step이라고도 한다)와 시각으로 자신의 하지나 마루를 조심하고 있다. 사지운동장애 등을 볼 수 있다.

감각 인식

sensory awareness

sensory awareness 감각 인식: 감각기관을 통해 내부 및 외부 환경으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통합한 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이해, 상황을 판단하여 결정, 그리고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을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