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감각 부호화

sensory coding

sensory coding 감각 부호화: 투입된 자극 정보를 지각할 수 있도록 각각의 정보에 의미를 부여하여 감각 지각화에 매개 기능을 한다.

감각 지각화

sensory conception

sensory conception 감각 지각화: 감각 정보를 받아들이기 위해 주의를 확장시켜 감각정보를 획득하는 것.

감각 방어

sensory defense

sensory defense 감각 방어: 소리 등의 감각에 예민하여 견딜 수 없어 하는 행동. 아동이 시끄러운 장소에 있을 때마다 소리를 지르고 귀를 막는 행동 등이 예이다.

감각적 결함

sensory deficiency

sensory deficiency 감각적 결함: 어려운 소리를 왜곡한다. 낱말과 구절들을 전보문식으로 끊어서 연결하고, 모든 언어가 정확성과 명확성이 없게 된다. 단순한 어휘로 제한되고, 문법적 오류가 많이 나타난다.

감각 발달

sensory development

sensory development 감각 발달: 환경으로부터 귀, 피부, 혀, 코, 눈을 통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말한다. 즉 외부자극이 신체에 도달하는 순간부터 대뇌에 도달할 때까지를 감각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청각의 경우 외이에 의해서 수집된 음파가 중이를 거쳐 와우에 채워진 액체에 파동을 일으키면서 전달된다. 또 시각의 경우 두 눈에 의해서 수집된 빛이 망막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전달된다. 5개의 감각 중에서 시각과 청각은 다른 감각에 비해 많이 알려진 편인데, 유아는 시각보다 청각이 더 빨리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각우세

sensory dominance

sensory dominance 감각우세: 감각정보의 특정형태에 집중하는 경향. 

감각 우세

sensory dominance

sensory dominance 감각 우세: 인체의 여러 감각 중 한 감각 정보의 특정형태에 집중하는 경향. visual dominance effect 참조.

감각 주도적 처리

sensory driven processes

sensory driven processes 감각 주도적 처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감각을 인식 과정으로 감각 정보를 받아들이는데 각성과 주의로 이루어지는 처리 형식.

감각자질

sensory feature

sensory feature 감각자질: 눈, 코, 귀, 혀, 살갗을 통하여 바깥의 어떤 자극을 알아차리는 능력이나 소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