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감각 손상

sensory impairment

sensory impairment 감각 손상: 다섯 개 수용 경로(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 중 1개 이상에서 비정상적으로 기능하는 것. 

감각 통합

sensory integration

sensory integration 감각 통합: 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 균형, 중력위치, 운동 등의 감각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해석하고 조직하는 뇌의 능력. 감각통합에서 문제들은 학습문제, 과잉행동, 주의집중력, 협응결핍, 균형감각결핍, 행동문제 등을 일으킬 수 있고, 학교, 가정, 직장, 놀이 등에서 어려움을 일으킬 수 있다. 작업치료사이며 심리학자인 Ayres A. J가 체계화한 이론으로, 감각을 조직화하는 신경학적 과정을 말한다. 감각이란 신경세포를 자극하고 활성화하며 신경계통의 일련의 순서에 의해 일을 진행시키는 에너지이고, 통합이란 신체 여러 감각부분을 전체로 묶는 조직화의 한 단계이다. 그러므로 감각통합이란 적응반응을 얻기 위하여 감각자극을 통해 학습하면 뇌에서 모든 감각을 통합하여 지각을 형성하고, 활동하고, 학습하는데 활용하도록 하는 감각처리과정의 가장 중요한 형태이다. 감각통합의 장애는 일상생활에 문제를 일으키며, 모든 것에 만족을 느끼지 못하고 학습부진 또는 행동장애를 수반하게 된다.

감각 통합 및 응용 검사

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s

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s 감각 통합 및 응용 검사: 중등도 학습, 행동 또는 발달 불규칙을 보이는 4~8세 아동의 촉각 처리, 전정고유수용 처리, 시각적 인지, 시각-운동 협응, 실행 능력 그리고 좌우 통합 및 배열 간의 관계를 평가하는 17개의 하위 수행(비언어적) 검사로 구성된 도구이다. 

감각 기억

sensory memory

sensory memory 감각 기억: 감각분석기에서의 활동이 지속되는 것, 지각분석기에 의한 세부적인 특징의 탐지를 가능케 한다.

감각운동

sensory motor

sensory motor 감각운동: 일반적으로 신체의 일부 또는 전신의 수동적, 능동적 운동에 대해 신체 내부에서 수용하는 감각의 총칭. 일정 공간에서 외부 물질이나 자체의 운동에 대한 감각의 총칭으로 보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시각, 촉각, 유동각 등의 기능도 포함된다. 척추동물에서 팔, 다리의 운동감각은 위치각뿐만 아니라 사지의 골격운동에서도 민감하며 아주 작은 운동의 경우 크기나 방향 판별은 못하지만 운동 사실은 정확히 느낄 수 있다. 이에 반하여 후두와 안구에는 운동감각이 부족하거나 전혀 없다. 능동적 운동의 경우에는 역각이 가해지므로 역치가 어느 정도 저하된다. 이러한 운동감각과 위치각을 합하여서 넓은 의미의 운동감각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감각운동 기법, 감각-운동법

sensory motor approach

sensory motor approach 감각운동 기법, 감각-운동법: 음성학적 조음치료 기법 중 하나로 말의 기본 단위는 음절이라고 가정하여 음절수준에서 치료를 시작하는 기법. 이 기법에서는 오류음소라고 하더라도 어떤 문맥에서는 쉽고 정확하게 산출 가능하기 때문에 음절구조를 조절하여 정반응을 촉진시키고, 정확한 발음에 대한 감각을 익히게 한다. 음성학적 조음치료가 대부분 음소수준에서 치료를 시작하는 것과는 대조된다.

감각적 무시증

sensory neglect

sensory neglect 감각적 무시증: 병소의 반대쪽에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자극을 주었을 때에 이를 감지하지 못하거나 이에 대한 반응이 없는 것을 말한다.

감각 신경

sensory nerves

sensory nerves 감각 신경: 감각기관으로부터 두뇌에까지 감각 정보를 전달하는 뇌신경. nerve 참조.

감각뉴런

sensory neuron

sensory neuron 감각뉴런: 감각 수용기들로부터 뇌나 척수로 메시지를 전달해서 생물체에게 환경이나 신체내의 사상들에 관해서 정보를 전해주는 하나의 뉴련이나 신경세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