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tence 문장: 1. 독립적인 한 절로(따로 사용되는 주어+동사), 단문(simple, 독립절이 하나만 있는 것), 복합문(compound, 둘 이상의 독립절이 함께 엮임), 복문(complex, 독립절에 하나 이상의 종속절이 덧붙여짐)으로 분류될 수 있다. 완전한 생각을 표현하기 위한 기본 단위. 문장은 ①전통적 문법에서, 주어와 술어, ②변형 문법에서, 명사구와 동사구, ③격문법에서, 양태(modality; 부정, 시제, 법, 상으로 구성)과 명제(proposition; 동사가 하나 이상의 격을 가진 명사구로 구성) 등으로 구성된다. 2. 완전한 의미단위를 구성하기 위해 문법적으로 또 구문론적으로 배열된 형태소의 결합. 3. 적어도 두개의 구조적으로 관련된 형태소를 포함하는 발화. sentence classification 참조.
sentence application 문장 활용: 맥락에 따라 구와 절의 활용을 인식하는 것.
Sentence Articulation Test 문장 조음 검사: 독립된 단어와는 반대로, 조절된 문맥적 상황에서 자음의 산출을 검사하기 위해 고안된 진단문장. 각 문장은 문장의 어두, 어중, 어말 위치에 특정 자음을 제시하도록 고안되었다(예를 들면, Put the paper in the cup. Sing a song.). 피험자의 읽기 능력에 따라, 자발적으로 혹은 모방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
sentence classification 문장 분류: 구조에 따라 조직화된 의미의 단위. 전통문법에서 복문, 중문, 중-복문, 단문으로, 변형문법에서는 내포문, 파생문, 핵문, 모문 등으로 나눈다.
Sentence Comprehension Test 문장 이해력 검사: Wheldall, Hobsbaum, Mittler가 아동의 문법적 구성에 대한 이해력을 검사하기 위하여 만든 공식적인 평가도구이다. 이 검사는 3;0~5;6세 사이의 아동들에게만 실시할 수 있으며, 15개의 하위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하위 검사에서는 서로 상이한 문법 구조를 검사한다. 각 하위검사는 4개의 문항이 있는데 아동이 정확한 한 가지 답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아동이 각 하위검사에서 3점 이상의 점수를 얻으면 그 하위검사를 통과한다. 60개 문항에서 얻은 프로파일 점수를 통해 치료사는 아동의 치료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 검사의 개정판은 1986년에 출판되었다. 여러 개의 문항과 5개 하위 검사들이 삭제되고(10개의 하위 검사로만 구성되었으며), 그림들은 새로 그려졌다.
sentence constituents 문장구성성분, 문장성분: 문장을 나눌 수 있는 단어들의 단위. 예) 절, 구, 단어. 직접적인 문장구성 요소를 위해 sentence 참조.
sentence context 문장 맥락: 문장과 문장 간의 상호 의미를 연계하는 주요소 개념을 인식하는 것. 문장 속성간의 위계를 연결 짓는 요소를 의미.
sentence derivation 문장 파생, 문의 파생: derivation of a sentence 참조.
sentence intonation 문장 억양: 문장 전체에 얹히는 억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