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tence picture matching task 문장-그림일치 과제: 검사자가 들려준 문장과 일치하는 그림을 찾도록 하는 과제. 문장이해정확도와 반응시간 측정을 통해 인지능력을 파악하는데 활용된다. 치료사의 시선, 손짓 등이 단서로 작용하지 않도록 조절하여야 한다.
sentence repetition 문장 따라 말하기: 검사자가 말한 문장을 아동이 듣고 따라 말하게 하는 언어 수집(sampling) 절차를 말한다. 검사자가 시범을 보인(modeling) 발화를 아동으로 하여금 따라 말하게 하는 과제.
sentence repetition task 문장 따라 말하기 과제: 검사자가 사전에 정해진 문장을 들려준 뒤 피검자가 이를 기억하여 다시 산출해내는 과제로, 언어처리능력과 문법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sentence topic coherence 문장 주제적 응집성: 하나의 글에는 문장별 주제, 상위주제, 전체주제가 있을 수 있다. 문장별 주제란 언어학에서의 "topic-comment" 관계에서 topic에 해당하는 개념으로 한 문장에서의 주 내용(main idea)을 지칭한다고 볼 수 있다.
sentence types 문장 유형, 문의 형태: 전통 문법과 변형 문법에서, 그 문장의 목적에 따라 조직된 문장. 평서문, 감탄문, 명령문, 의문문 등이 있다.
sentence verification procedures 문장 확인 절차: 문장 확인 절차에서는 환자에게 문장을 제시하고, 환자가 그 문장이 “바른지” “틀린지”를 결정한다. 결정의 근거를 그 세상에 대한 지식에 두거나〔예: “인도(side walk)가 고속도로보다 더 넓다.〕 문장과 함께 그름을 제시한다. 환자는 그 문장이 그 해당 그림을 바르게 설명한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예, ”소년이 소녀를 때리고 있다.“). 또한 문장 확인 절차는 문단이해력을 측정(혹은 치료)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sentential coordination 문장 등위구조: 완전한 절을 접속하기.
separation 분리: 서로 나뉘어 떨어지거나 떨어지게 함. 정신분석 용어에서, 분리는 또한 분리-개별화 과정에 포함된 하나의 심리내적 과정을 가리킨다. 이 과정은 특히 개인이 대상으로부터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구별된 존재로서 자신을 느끼도록 해준다. 이 능력은 인간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요소이다. 분리를 받아들일 수 있는 역량은 발달적 성취에 대한 하나의 지표이다. 아동이 양육 대상으로부터 시기적절하지 않거나, 갑작스럽게 분리되는 것은 외상적일 수 있으며, 만성화된 애도나 정신병리 같은 왜곡된 발달 및 적응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러한 외상적 분리는 대상을 신체적으로 또는 정서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때 발생한다.
separation anxiety 분리 불안: 아동들이 겪을 수 있는 정서장애를 유발시킬 수 있는 원인. 공포와 불안에 대한 느낌은 어떤 상황에서는 모든 아동들에게서 매우 일반적이고 정상적인 반응이지만, 이러한 느낌들로 인해 일상생활이 방해를 받기 시작할 경우에는, 이러한 느낌들은 비정상적이 된다. 아동의 초년기 동안에, 아동은 충격적인(traumatic) 사건에 매우 민감하고 상처를 받기 쉬우며, 분리는 이러한 사건 중에 하나이다. 아이들에게는 특별한 사람으로 간주되는 어머니(일반적으로 어머니는 아동과 처음으로 유대관계를 가지게 되는 부모이기 때문임)가 다른 자녀를 갖게 되거나, 질병 등으로 인해 갑자기 가정을 떠나야 할 때가 있다. 아동이 이러한 분리에 대해 잘 준비되어 있으면, 어머니가 갑자기 없어지고 준비가 되어있지 않는 경우보다 그 상황에 받아들이는데 문제점이 더 적을 것이다. 어머니와의 분리에 대한 적절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아동은 '상실(lost)'을 경험하게 되고 심한 불안을 겪게 된다. 심리치료는 이러한 아동들에게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족치료나 부모상담도 역시 유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