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verity 심한 정도, 심도, 중증도: 장애의 심한 정도를 나타내는 말로, 경도, 중증도, 심도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얼마나 심각한 장애인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0(정상)---10(매우 심함)이라는 척도 상에 있는 모든 정도를 나타낸다.
severity conversion table 심한 정도 환산표: 아동이나 성인에게서 장애의 심한 정도를 표준 데이터에 있는 점수와 얻은 점수를 비교함으로써 나타낼 수 있다. 심한 정도를 퍼센타일 점수로 나타내거나 매우 경미함(very mild), 경미함(mild), 중등도(moderate), 고도(severe), 최고도(very severe) 등과 같은 심한 정도를 나타내는 수준으로 나타낸다. 말더듬 정도 측정 검사(SSI)에서는 짧은 구어 분절음의 연장이나 반복의 빈도, 머무르는 시간, 신체적으로 수반되는 행동특징 등을 채점하여 세 점수를 모두 더하여 얻어진 총점으로 어떤 아동의 말더듬 정도를 심한 정도 환산표에 있는 점수와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다.
severity ratings 심한 정도 평정: 현상의 심한 정도에 대한 부모, 보호자 및 아동이 실시한 지각적 평정. 말더듬을 예로 들면 1은 말더듬이 없는 경우, 2는 매우 경미한 말더듬, 10은 매우 심한 말더듬을 뜻하는 경우이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말더듬의 변화를 모니터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sex chromosome 성염색체: 성의 결정에 관여하는 염색체. 이것 이외의 염색체를 상염색체라 부른다. 자웅 양성으로 분화한 고등생물에서는 상동인 2쌍의 염색체외에 성의 결정에 관여하는 1쌍의 염색체를 가진다. 성염색체에 관여하는 성결정 양식에는 웅헤테로형과 자헤테로형의 2가지가 있다. 웅헤테로형의 성결정 양식을 가진 생물에서는 암컷은 X염색체를 2개 가지고 수컷은 1개만 가진다. X의 상대로 이형의 Y염색체를 가진 경우를 XY형, 상대의 염색체가 없는 것을 XO형이라 부른다. 포유동물의 대부분은 XY형이고, 곤충류의 메뚜기류에서는 XO형이 많다. 후자의 경우에 수컷의 염색체수는 항상 홀수이다. 예컨대 웅헤테로형 성결정은 사람에서는 염색체수가 46개이고 XY형, 메뚜기에는 23개이고 XO형이다. X염색체의 성결정에 대한 관여는 생물종에 따라서 다르다. 예컨대 초파리의 수컷은 XY염색체를 가지는데, Y가 결실하여 XO가 되더라도 수컷이 된다. 암컷은 X염색체를 2개 가지는데, XXY라도 완전한 암컷이 된다. 그러나 사람의 Y염색체는 웅성결정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사람에서는 Y를 잃고 X가 1개가 되면 발육 불완전한 여성형이 되고, 또 X를 1개 여분으로 포함하여 XXY형이 되면 발육 불완전한 남성이 된다. chromosomes 참조.
sex linkage 반성 유전: 성염색체의 유전자로 인해 생기는 유전 현상. 반성유전은 암수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성염색체(X, Y 염색체)의 유전자에 의한 유전으로, 그 유전자를 모친이 갖는지 부친이 갖는지에 따라 자손의 유전형질의 발현 양상이 달라진다. X염색체에 있는 유전자로부터 유전하는 것을 반성유전이라고 말한다. 반성유전의 대표적인 예는 적록색맹으로 색맹 유전자는 열성으로 X염색체에 있다. 혈우병 유전자도 열성에 해당하며 X염색체에 들어 있다.
sexual abuse 성학대: 성인이 자신의 성적 충족을 목적으로 미성숙한 아동에게 성적인 착취, 유희, 가해하는 모든 성적 행위를 말한다.
shading 주제의 음영화: 대화 주제의 초점을 의도적으로 조금씩 수정하는 것이다.
shadow audiogram 음영 청력도: 만약 한쪽 귀의 청력이 다른 쪽 귀보다 매우 좋으면 나쁜 쪽 귀의 역치를 구하기 전에 자극 음의 강도가 검사귀의 이어폰 밑으로 일부 빠져나와서 좋은 쪽 귀로 들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청력도를 음영 청력도라고 한다. audiogram 참조.
shadow curve 음영곡선, 그림자형 곡선: 청력 검사에서, 가(假)청력도(false audiogram)로서, 대개 교차청력(cross hearing)의 결과로 나타나며, 청력이 좋지 않은 귀에서 청감각 역치를 나타내며, 청력이 좋은 귀에서의 청감각과는 평행하는 역치를 나타냄, 어떠한 형태로도 나타나며, 대개 차폐(masking)를 사용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