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간편 토큰 검사

Short Token Test

Short Token Test 간편 토큰 검사: token test 참조.

단기 목표

short-term goals

short-term goals 단기 목표: 장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간 과정. 언어치료 전반에 걸쳐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구현하는 데 장기 목표와 함께 필요하다. 예를 들면, 언어치료의 장기 목표가 '말더듬 없이 5분 간 의사소통할 수 있다'라면, 단기 목표는 '말더듬 없이 1분 간 의사소통할 수 있다', '읽기에서 예비책을 구사하여 200음절의 자료를 말더듬 없이 읽을 수 있다' 등이 된다. 단기 목표 달성을 통해 언어치료 환자가 스스로 성취감을 느끼면서, 성공적인 변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돕게 되고, 이를 통해 대상자는 언어치료 기간 동안 지속적인 동기 부여를 받고 궁극적으로 장기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long-term goals 참조.

샤워용 목걸이

shower collar

shower collar 샤워용 목걸이: 후두적출자들이 샤워를 하는 동안 물이 목에 있는 기문을 통해 폐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종종 사용하는 목걸이와 같은 장치.

쉬프린젠 증후군

Shprintzen syndrome

Shprintzen syndrome 쉬프린젠 증후군: 구개열, 선천성 심장병, 기묘한 얼굴을 포함한 유전 증후군은 동의어로 베크로-심장-안면 증후군이다. 지능 저하는 드물지만 심각한 학습 장애와 안면 장애를 보인다. 유전은 50%의 재발 위험을 가진 상염색체 우성 질환이다. 언어와 인지 기능 장애에 대한 특수 교육이 필요하다. 

분로

shunt

shunt 분로: 1. 신체 내의 한 부분의 액체를 다른 부분으로 옮기는 관. 뇌수종이 있는 사람에게 이식되어 남아 있는 뇌척수액을 뇌로부터 제거하거나 직접 심장이나 내장으로 보냄. 2. 수술적 재건 또는 뇌수종의 고통을 경감시키기 위한 기계적 장치에 의해 흡착하는 시스템이나 분비하는 시스템에 축적된 액체를 우회시키는 것. 4번 뇌실강에 액체가 증가하여 뇌압의 증가로 뇌수종을 일으키는데, 이 액체를 배출시키기 위해 대뇌에 삽입하여 맞춘 기기(device)로서 Spitz-Holter shunt와 Pudenz shunt 등 2가지 유형의 션트 치료(shunt treatment)가 있다.

슈와, 중모음

shwa

shwa 슈와, 중모음: schwa 참조.

치찰음

sibilant

sibilant 치찰음: 혀와 구개 사이에 만들어진 좁은 통로 사이에 공기가 뿜어져 나오면서 만들어지는 소리. 이렇게 만들어진 소리는 쉿쉿하는(hissing) 소리로 나온다. 그 예로는/s/, /z/, /ʃ/, /ʒ/가 있다. 마찰음의 하위 유형. 영어에서 마찰음은 [f, v, s, z, ʃ, ʒ, ɵ, ð] 등이다. 어떤 마찰음들은 많은 양의 음향 에너지를 가지고 음도를 산출한다. 이러한 고에너지 고음도의 음들은 강도가 큰 치찰음 소음(loud, hissing noise)을 산출한다. [s, z, ʃ, ʒ] 등과 같은 마찰음은 치찰음이고 [f, v, ɵ, ð] 등은 비치찰음이다. 

형제, 자매, 동기

sibling

sibling 형제, 자매, 동기: 동일한 부모를 가진 두 명 이상의 사람들 중 한명.

형제간의 경쟁

sibling rivalry

sibling rivalry 형제간의 경쟁: 형제들 간에 항상 어느 정도의 경쟁이 있다는 사실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경쟁은 놀이를 할 때 다투거나(play-fighting) 학교에서 공부를 좀 더 잘하려는 것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다른 형제보다 부모로부터 좀 더 많은 칭찬을 받으려는 바람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만약에 부모가 다른 자녀들 보다 어느 한 자녀를 더 좋아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면, 사랑을 적게 받는 자녀는 자신의 형제나 부모 혹은 모두에게 공격적인 감정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러한 감정들은 품행(conduct) 장애와 선택적인 함묵증과 같은 정서장애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동이 부모에 대한 적대감(vindictive)을 가지게 된다면, 아동은 학교에서 말을 하지 않으려고 하고, 이로 인해 아동은 생활적응이 더욱 어려워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