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경련성 부전실성증, 연축성 발성장애, 경련성 발성장애

spasmodic dysphonia

spasmodic dysphonia 경련성 부전실성증, 연축성 발성장애, 경련성 발성장애: 발성 기관의 근육들이 과도하게 연축되면서 목소리의 이상을 초래하는 임상적인 질환. 발성 시 음성이 중간 중간에 끊기고 환자는 목이 막혀 뜻대로 매끄럽게 말을 할 수 없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심리적인 긴장상태에서 증상이 악화되는 예가 많다. 정신적인 스트레스 하에서도 나타난다. 심인설이 일반적이었는데 최근에는 기질적인 질환으로 보기도 하며, 내전형, 외전형, 혼합형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

경직의, 경직성의, 경직형의

spastic

spastic 경직의, 경직성의, 경직형의: 발작이나 경직성과 관련된. spasticity 참조.

경직형 뇌성마비

spastic cerebral palsy

spastic cerebral palsy 경직형 뇌성마비: cerebral palsy 참조. 

경직형 마비성구어장애

spastic dysarthria

spastic dysarthria 경직형 마비성구어장애: 양측의 상위운동 신경원(UMN) 병변과 관련되고, 부정확한 조음, 단조로운 음도와 강도, 부족한 운율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병변 부위들로는 피질, 기저핵, 내포, 교, 연수 등의 다양한 부위들을 포함한다. 운동범위의 감소, 느린 운동속도, 소근육운동 및 능숙한 운동의 상실, 근긴장도의 증가 등과 같은 운동장애를 나타낸다.구어는 힘이 들고, 단어들을 길게 연장할 수도 있다. 안면의 왜곡과 짧은 구를 종종 수반한다. dysarthria 참조.

경직형 부전실성증, 경직성 실성증

spastic dysphonia

spastic dysphonia 경직형 부전실성증, 경직성 실성증: 1. 성대의 과도한 폐쇄(내전)로 나타나는 음성 장애로서 억누른 듯하거나, 쥐어짜는 듯하거나, 고르지 못하거나, 거친 기식성의 음성을 특징으로 함. 성대의 간헐적인 경련으로 인해 쥐어짜는(strained) 스타카토식 음성이 산출되는 부전 실성증의 한 가지 유형. 이 음성장애의 발생 비율은 남녀집단에서 비슷하다. 명확한 병리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원인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신경학적 병변이 그 원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2. 성대의 말더듬. Syn: laryngeal stuttering. voice disorder of phonation 참조.

경직형 마비, 경직성 마비

spastic paralysis

spastic paralysis 경직형 마비, 경직성 마비: 상위 운동뉴런(신경) 상의 손상에 의한 마비의 형태로 경직된 근육을 특징으로 함. paralysis 참조. 

경직, 경직성, 경직형

spasticity

spasticity 경직, 경직성, 경직형: 일정한 정도 이상의 과긴장성이 있는 길항근이나 상반근육 집단의 동시수축으로 기인하는 뇌성마비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 마비된 신체를 수동적으로 움직일 때 근긴장도가 일관적으로 증가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경축과는 다르다. 수동적으로 움직일 때 처음에는 근긴장도가 증가하지만 움직임이 계속되면 긴장도가 사라지고, 경직이 있는 부위를 빠르게 펴려고 하면 저항이 매우 강하고, 느리게 펴려고 하면 저항이 낮아진다. 경직형은 수의 운동을 담당하는 운동신경로, 즉 추체로(pyramidal tract)의 이상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전체 뇌성마비 중 약 50%가 이 유형에 속한다고 알려져 있다. 경직형은 근군을 타동적으로 굽힐 때 신전하려는 저항이 나타나는 신전반사(stretch reflex)의 항진이 나타난다. 양측마비는 가연수마비(bulbar palsy 참조)를 일으키는데, 이 가연수 마비는 구어에서 운동구어장애 특성들을 나타내고 연하운동장애와 구토 반사가 좋지 못하다. 신전 반사의 과대행위가 특징인 근육의 과대긴장, 구어는 느리고, 힘이 든 속도, 억양의 결핍, 술에 취한 소리 같거나 숨찬 음성, 강도조정 불능, 심한 조음장애 등이 특징이다.  

공간적인 주의집중능력

spatial attention

spatial attention 공간적인 주의집중능력. 

공간적 지남력

spatial orientation

spatial orientation 공간적 지남력: 현재 자신이 놓여 있는 상황을 올바르게 인식하는 능력을 말한다. 올바른 지남력을 갖기 위해서는 의식, 사고력, 판단력, 기억력, 주의력 등이 유지되어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간적 지남력은 자신이 있는 장소나 거리, 부피를 올바르게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지남력이 장애를 받게 되는 것을 지남력 상실이라고 한다. 이 경우에는 「자신은 누구인가」, 「이곳은 어디인가」, 「오늘은 몇 월 며칠인가」 등을 질문을 해도 대답을 하지 못한다. 의식장애, 뇌기질 질환, 코르사코프 증후군 등에서는 지남력이 장애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