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발화기본주파수: 평균 기본주파수가 낭독하기나 대화 구어과제에서 측정되었을 때 이를 발화기본주파수라고 하고 폐활량을 최대 연장발성한 시간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speaking valve 스피킹 밸브: 후두의 관과 통로의 막성 주름. 내용물의 역류를 방지한다.
special education 특수교육: 개별화교수프로그램(IEP)으로 계획되고, 수요자가 중심이 되는 교육. 다양한 수준의 정신 장애(mental handicap) 및 신체장애 등을 겪고 있는 아동들에게 제공되는 교육으로 수업형태는 종종 소규모로 이루어지고 언어치료사, 심리치료사, 심리학자 등과 같은 외래 전문가들이 이들의 교육에 참여하기도 한다. 대상 아동들은 일대일로 지도하고 있는 교사의 지원을 받는 것과 함께, 그 나머지의 시간을 일반학급에서 교육을 받는 통합교육(mainstream education)에 참여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특수교육공학: 실제로 장애인을 위해 사용되는 보조공학 및 일반공학을 포함한다.
Special Needs Assessment Software 특정 요구 평가용 소프트웨어: 1990년에 Douglas가 고안한 이 소프트웨어는 중증의 신체장애나 학습장애 아동의 교육적 요구를 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것은 두 가지의 별도의 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1. 인지 발달 검사: 시각적 변별 짝짓기, 관찰한 것 기억하기, 시각적 연쇄하기(visual sequencing) 등과 같은 검사를 통해 아동의 인지 기술을 평가한다. 검사 결과는 기준-준거(criterion- referenced) 채점 체계를 사용하거나 2;6~6;0 사이의 정상아동의 표준점수와 비교를 통해 해석될 수 있다. 2. 구어 이해력 평가: 전치사, 동사시제, 형용사의 비교 등의 사용과 수 개념 사용 등과 같은 영역에서 아동의 언어 이해력을 알아보는 검사. 결과 해석은 인지 발달 검사의 해석과 유사하다. 아동에게 적절한 어떤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사용하여 두 가지 검사에 대한 아동은 반응을 할 수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single-40 track disk drive를 가진 BBC B 혹은 Master 소형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다. 결과를 모니터에서 볼 수도 있고 프린터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special terms 특정어: 어느 한 차원의 속성으로 한정해 주는 크기관계형용사를 뜻한다. 즉 ‘길다, 짧다, 높다, 낮다, 두껍다, 얇다, 넓다, 좁다, 굵다, 가늘다’등이 해당된다.
specialist 전문가: 미국에서는 석사 이후에 specialist 과정을 거쳐서 받는 학위를 말한다. 박사학위에 준하는 전문가 양성과정이다.
specific concept 종개념: 하나의 개념이 다른 개념을 포괄하고 있을 때, 전자를 유개념(類槪念)이라 하는 데 대한 후자의 개념으로 전통적인 논리학 용어이다. 예를 들면, 동물이라는 유개념에서는 사람 ·개 ·고양이 ·닭 ·고래 ·도미 등에 대한 개념이 종개념이 된다. 개념을 집합이라고 본다면 유라고 하는 집합의 부분집합이 종이라고 생각될 때와 유의 근본이 종이라고 생각될 경우가 있다.
specific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DLD) 특정 발달성 언어장애: 아동들에게서 나타나는 의사소통장애의 한 유형. 이 장애의 원인은 언어지체를 유발하는 원인과는 동일하지 않다. 아동들은 초기 아동기 동안의 음운발달지체, 표현언어에서의 문법 문제, 비언어성 지능지수가 높고 언어성 지능지수가 낮음, 운율장애, 제한된 상징 놀이 활동, 청각적 순서성(연쇄) 기억보다 시각적 순서성(연쇄) 기억이 더 좋음, 언어 수행력이 자신의 지적수준보다 낮음으로서 경험하는 좌절의 정도 등의 항목들 중 한 가지를 나타낸다. 만약 특정언어발달장애를 가진 아동으로 진단되기 위해서는 발달기 조음, 구어 혹은 구성 실행증, 최소 신경학적 문제, 이해력 문제, Landau-Kleffner 증후군, 실독증이나 실서증 등의 원인들 중 몇 가지를 나타낼 수도 있다. 원인이 다른 언어지체와 이러한 감별진단은 언어치료사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언어치료가 성공적으로 되려면 특정언어발달장애와 언어지체를 구별되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