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구어연쇄, 언어연쇄

speech chain

speech chain 구어연쇄, 언어연쇄: 화자로서 언어를 산출하고 청자로서 언어를 인식하는 과정. 화자가 청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 화자는 대뇌에서 단어를 선택하고 바른 순서로 구성하는 것을 통해 발화를 구성한다. 이것은 구어연쇄를 수행하는 한 부분이다. 이러한 단어들은 신경충동으로 성도로 보내지고, 조음자에 의해 발화되고, 음파로 전달된다. 이러한 음파는 화자에게서 청자에게 전달되는 음향 에너지이다. 청자는 귀를 통해 음향 에너지를 전달받게 된다. 귀에서 음향에너지는 물리적 에너지로 바뀌게 되고, 이 에너지는 다시 대뇌에 신경충동의 형태로 바뀌게 되는데, 대뇌에서 신경충동이 해독되어짐으로써 청자는 발화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인간은 타인과 구어라는 매개체를 통해 의사소통할 수 있게 된다. 구어를 통한 의사소통을 통해 인간은 동물의 생활보다 상위의 생활을 누릴 수 있게 되는데, 구어 의사소통은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다. 언어치료에 있어, 언어치료사는 종종 이러한 언어 연쇄의 어떤 부분에서 장애가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예를 들면, 안면신경을 활성화하는 신경충동이 지나가는 통로의 이상으로 나타난 운동구어장애 때문에 혀 근육의 운동성에 문제가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실어증에서는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단어를 찾지 못하거나 정확한 어순으로 단어를 배치할 수 없을 수도 있고, 청력손실로 인해 피드백 체계가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 등으로 인해 발화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가질 수도 있다. 평가를 통해 이러한 언어연쇄에서의 붕괴가 나타나면, 그것을 회복하기 위해 치료 프로그램을 실시되게 된다.

구어 공동체

speech community

speech community 구어 공동체: 한 가지 공통 언어를 통해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서로 의사소통하는 사람들의 집단. 

말 이해도

speech comprehensibility

speech comprehensibility 말 이해도: 말 명료도보다 넓은 의미의 판단 기준으로서 말의 음향학적인 신호뿐만 아니라 말을 이해하는 데 영향을 주는 모든 요소들을 포함한다

구어 보존, 구어 유지

speech conservation

speech conservation 구어 보존, 구어 유지: 중도에 농이 된 사람들이 구어, 언어, 음성을 통합하지 못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안된 구어 및 언어 중재

언어교정

speech correction

speech correction 언어교정: speech therapy 참조.

언어교정사

speech correctionist

speech correctionist 언어교정사: speech pathologist 참조.

구어결함, 구어장애

speech defect

speech defect 구어결함, 구어장애: 주위에서 수용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구어편차로, ①쉽게 알아들을 수 없는 경우, ②시각적 청각적으로 불쾌함을 주는 경우, ③특정 어음 산출이 일탈되거나 (어음) 산출이 힘든 경우, ④리듬이나 강세, 유창성 등이 일반적이지 않을 경우, ⑤나이와 성(性) 및 신체적 발달상과 관련해 적합하지 않은 경우. speech disorder 참조. 

말소리 지체

speech delay(SD)

speech delay(SD) 말소리 지체: Shriberg 등(2005)이 제안한 잠재적 원인에 따른 조음음운장애유형 중 하나. 유전적인 요인이 원인이 될 때 사용되는 분류로 언어 처리과정의 문제, 청각적 처리과정의 문제, 정서기질적 문제, 아동기 말실행증 문제, 발달성 마비말장애 등의 다섯 개 집단으로 나눈다. 환경적 요인이 원인이 될 때는 치찰음 /s/, 유음 /r/ 오류로 분류되는 말소리오류(speech error)라고 한다.

어음 탐지 역치

speech detection/detectability threshold(SDT)

speech detection/detectability threshold(SDT) 어음 탐지 역치: 피검자가 말의 출현을 겨우 탐지하고 그것을 말이라고 확인할 수 있는 최저 수준의 음의 강도(dB)로 정의된다. speech detection threshold와 동일함. threshold와 speech audiometry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