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ech initiation time 발화개시 시간: 피험자가 문장 과제를 이해하고 발화 준비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한 후 음성적으로 발화를 시작하는 순간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speech innateness theory 구어 선천성 이론, 언어생득이론: language theories에서 nativist theory 참조.
speech intelligibility 말 명료도: 듣는 사람의 입장에서 느끼는 주관적인 조음명료도 판단기준. 오류 음소 수, 오류 조음의 일관성, 오류음의 사용 빈도, 목표음과 오조음의 유사성, 친숙도 등과 관련된다.
speech intelligibility of spontaneous 자발화 말 명료도: 일상적인 대화상황에서 화자의 말을 청자가 이해한 정도를 의미한다.
speech intensity 말소리 강도: 말소리의 힘이나 압력.
speech interference level(SIL) 구어간섭수준, 소음방해수준, 소음간섭수준: 1. 언어를 이해함에 있어 소음과 관련된 정도. 2. 2개 국어를 사용할 때 나타나는 언어의 간섭수준.
speech language pathologist 언어재활사. 언어치료전문가, 언어치료사(言語治療師), 언어치료교사, 언어치료교육사, 언어임상가, 언어병리사: 언어장애 전반에 걸쳐서 진단하고 언어장애를 극복하여 건전한 사회인으로 적응하도록 언어능력 전반에 걸쳐서 진전이 일어나도록 교육 및 훈련을 하는 교사로서, 언어치료 분야의 학위 및/혹은 자격증을 가진 전문가. speech pathologist 참조.
speech language pathology 언어 병리학, 언어치료학: 의사소통과 장애, 평가 및 치료를 연구하는 학문. speech pathology 참조.
speech language therapy 언어치료: 지적인 수준, 기질적․기능적인 원인, 혹은 환경적이거나 정서적인 요인 등으로 조음이나 의사소통에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장애적인 요소를 개선시키거나 능력을 최대한도로 발휘하여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언어치료이다. 언어치료 및 언어교육을 목적으로 행하고 있는 곳이 언어치료실이며 언어치료 및 교육을 담당하는 사람이 언어치료사(언어치료 전문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종합병원 대학 내, 장애관련복지관, 재활원 등에 언어치료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대상자는 보통 1회에 30분에서 40분씩, 일주일에 2회에서 4회 정도 개별 지도 또는 소집단 지도를 받게 된다. 병원 내의 언어치료실 경우는 의료보험의 혜택을 받지 못하므로 경제적 부담이 크다. 언어적 의사소통에 장애가 있거나 개인 회화적응에 장애가 있는 사람으로서 단지 정상적인 성숙에 의하여서는 증진될 것으로 기대되지 않는 사람의 언어 증진 및 교정을 위하여 계획된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