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ore 득점, 평점, 점수: 특정한 환경에서 성취도, 순위, 또는 상태 등을 일반적으로 숫자로 나타내는 평가.
scrabble 긁적거리기: 쓰기 발달단계에서 하위 1단계로 글자의 형태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세로선이 나타난 것, 하위 2단계는 글자의 형태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가로선이 나타난 것이다.
scrambling 어순 뒤섞기: 주격명사구와 목적격명사구가 타동사를 포함한 문장으로 자주 도치된다. 이러한 어순의 변형을 문학상에서 scrambling이라고 한다.
screen 스크린, 화면: 컴퓨터로부터 전송되어진 이후에 정보가 나타나는 모니터나 VDU(video display unit) 부분.
screening 선별(법): 더 자세한 평가여부를 받아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간단한 절차. 장애를 가지고 있을 것 같은 아동들을 판별하기 위한 노력으로 아동 집단을 검사하거나 조사하는 것이다. 그 다음에 판별된 아동들은 더 세밀한 검사와 사정을 받도록 공식적으로 의뢰한다. 언어, 청각, 조음, 유창성, 음성 등과 같은 특정 영역에서 특정한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과 명백하게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는 사람들을 구별하는 데에 사용되는 대략적인 측정 방법이다.
screening articulation test 조음 선별 검사: 검사를 더 해야 할지 또는 중재를 해야 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개인의 조음능력에 대한 대충적인 측정을 하는 것.
screening audiometry 선별청력측정, 청력선별검사: 전체 아동을 대상으로 개인 혹은 집단검사를 실시하여 청각장애아를 발견하기 위한 초기의 청력평가이다. 일반적으로 청각장애 아동의 신속한 선별을 위하여 연속주파수 청력검사가 청각 전문가나 학교 보건원에 의해서 실시되며, 그 결과에 따라 진단 검사, 즉 역치검사와 이과적 검사, 청각학적 검사, 교육 심리적 평가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판별, 분류, 특수교육적 조치를 하게 된다. 진단검사는 치료 대책을 강구하기 위한 과정인데 비해, 선별 검사는 청각에 장애가 있는지를 발견해내기 위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피검자에게 각 주파수대에서 일정한 강도 수준으로 음을 제시하여 청력을 측정한다. 이것을 sweep testing이라고도 한다. audiometry 참조.
Screening Deep Test of Articulation 조음 정밀 선별 검사: 쌍으로 된 그림으로부터 자주 오조음되는 9개의 자음을 자발적으로 산출하는 능력을 평가하고, 그 음소가 들어있는 문맥의 몇 퍼센트를 정확하게 발음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제한된 수의 음소 문맥에서 자주 오조음되는 음소를 체크하는 신속한 수단을 제공한다. 유치원 아동들에게 정밀조음검사를 해야 할지에 관해 검사자를 돕는 음소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Screening Kit of Language Development(SKOLD) 언어발달 선별도구: 2~5세 어휘력, 이해력, 이야기 완성, 그림이 있는 단일 및 쌍으로 된 문장 반복, 그림이 없는 단일 문장반복, 명령의 이해 등의 6가지 영역을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