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ech mechanism 구어 메커니즘: 말소리 산출은 기류의 조달과정(호흡), 성대에 의한 기류의 조절 과정(발성), 그리고 조음기관을 통한 기류의 변형 과정(조음)이 순서적으로 그리고 거의 동시에 일어나면서 이루어진다. 구어 산출에는 다음의 구조들이 포함된다. ①조음기(입술, 혀, 연구개, 인두 하악 등): 유성음화 되거나 무성음화 되지 않는 기류를 의미 있는 음으로 방해하거나 수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②후두: 음 에너지(발성)를 만들어 낸다. ③공명기(인두강, 후두강, 구강, 비강): 성대에서 산출된 기본 주파수를 변경시키기 위해 크기와 모양을 변화시키는 강이다. ④호흡계(폐와 공기 통로): 음 산출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한다.
speech melody 말의 가락: 억양은 발화에 첨가된 선율로 말의 가락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말에도 음악의 가락과 같이 목소리의 높낮이가 엮어내는 말의 가락이 있다.
speech motor control difficulties 구어운동 협응능력의 결함: 조음과 관련된 기관의 운동 협응능력에 결함이 있는 것. 말을 적절하게 하려면 중추신경 및 말초신경과 관련된 복잡한 메커니즘을 거쳐야 한다. 이러한 부분에 기질적/기능적인 문제가 있으면 구어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발달지연, 구개열과 같은 기형, 뇌손상, 퇴행성 질환과 같은 문제로 야기될 수 있다.
speech motor function 구어 운동 기능: 구어 메커니즘의 운동과 관련하여 조음기능을 평가하는 것.
speech motor planning 말 운동 계획: 실제적인 말소리로 산출하기 위해 저장된 말-운동 프로그램을 구체화 하여 운동을 조절하는 단계이다.
speech motor programming 말 운동 프로그래밍: 추상적인 음운적 부호화를 구어로 산출하기 위해, 조음기관의 근육을 시간과 공간적으로 조정하는 운동 패턴으로 변화하는 일련의 과정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speech motor programming ability 구어 운동 프로그래밍 능력: 새로운 단어를 듣고 그 단어를 산출하기 위하여 새로운 구어운동 프로그램을 만들어내는 기술이 얼마나 되는가를 의미한다.
speech motoric time 구어 운동 시간: 피험자가 음성적으로 발화를 시작하여 발화를 종료하기까지 시간이다.
speech naturalness 말의 자연스러움, 구어 자연스러움: 말을 하는 동안 음, 음절, 단어, 구 등을 서로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것을 말하며, 말하는 도중에 머뭇거림이나 반복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