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독화 실어증

speech reading aphasia

speech reading aphasia 독화 실어증: 입술의 운동과 의미를 연관시키는데 대한 장애.

소음 상황하에서 구어 수용력

speech reception in noise

speech reception in noise 소음 상황하에서 구어 수용력: 경쟁 소음 배경에서 들을 수 있는 능력의 측정. 사용되는 도구는 구어 역치를 측정할 때와 같다. 강강격을 청자의 언어 수용 역치보다 20dB 높은 수준에서 제시하고, 청자에게 정확하게 단어의 50%를 반복하도록 한다. 이것은 거짓반응자에 대한 검사로 사용될 수도 있다.  

어음 수용 역치 검사, 어음청취역치 검사

speech reception threshold test

speech reception threshold test 어음 수용 역치 검사, 어음청취역치 검사: speech recognition threshold(SRT) test 참조. 

speech reception threshold(SRT)

speech reception threshold(SRT)

speech reception threshold(SRT): speech recognition threshold(SRT)의 옛말. speech recognition threshold(SRT) 참조.

언어 인식

speech recognition

speech recognition 언어 인식: recognition 참조.

어음 인지 역치

speech recognition threshold(SRT)

speech recognition threshold(SRT) 어음 인지 역치: 단한 단어를 말로 반복하여 제시하여 그 단어의 50% 정도를 인지할 수 있을 때의 가장 약한 강도로 그 단어들을 바르게 반복한다. 강강격(각 음절에 같은 악센트를 가진 두 개의 음절로 된 단어) 혹은 담화를 사용함으로써 확인한다.

어음 인지 역치 검사

speech recognition threshold(SRT) test

speech recognition threshold(SRT) test 어음 인지 역치 검사: 유의미한 단어를 들려주었을 때 피검자가 검사 어음에 대하여 50%를 정확하게 들을 수 있는 가장 낮은 음의 강도이다. 유의미한 어음은 주로 이음절 단어를 사용한다. 어음 수용 역치는 일반적으로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이음절의 강강격(强强格, spondee) 단어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언어재활

speech rehabilitation

speech rehabilitation 언어재활: 적절한 언어훈련 형식을 통해 이전에 기능하던 구어 시스템을 회복시키려는 노력 과정.

구어 재구조화

speech restructuring

speech restructuring 구어 재구조화: 환자가 말더듬을 제거하기 위해 환자에게 말하는 방법의 변경을 요구하는 치료기법. 연장 구어, 스무스 구어, 리드믹한 구어 등이 예로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