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ech With Alternating Masking Index(SWAMI): 이분청취 과업을 포함하는 구어변별검사; 소음을 반대편 귀에 20dB 이상의 큰 강도로 제시될 때 구어를 양쪽 귀에 교대로 전환한다. 정상 청력인 사람은 이 구어를 이해할 수 있다.
speech-ease screening inventory 쉬운 말 선별검사: 이 검사는 유치원생들과 1학년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소요시간은 7~10분정도이며, 조음검사 부분은 12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장 완성하기 항목들을 통해 14개의 음소와 3개의 자음군을 평가할 수 있다. 통과 점수 미만을 받았을 때는 향후 진단검사가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SpeechEasy 스피치 이지: 말더듬 치료 기기의 일종.
SpeechPac 스피치팩: QWERTY 키보드, 소형 내장 프린터, 소형 카세트 드라이브, LCD 화면, 내장 구어 합성기 등을 포함하고 있는 첨단 의사소통 보조기. 수백 개의 메시지를 저장하여 'talk' 키를 누르면 구어 산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될 수 있다. 이 보조기를 프로그래밍할 때, 사용자가 한 개의 키를 누르게 되면 3개의 프로그래밍하는 안내문구가 화면에 나타난다. SpeechPac은 'Lolec'라는 특수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한다. 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250자까지의 길이로 된 완전한 문장을 프로그램하고 재현할 수 있다. 이것은 각 프로그램화된 문장은 논리적 문자 코드로 프로그램될 것이라는 논리적인 사고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작동되어진다. 예를 들면, 만약 사용자가 'I wish a cup of tea'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이 문장을 말하기 위해 'C'(cup)와 'T'(tea) 키를 프로그램할 것이다. 'talk' 키에서 'CT'를 누르게 되면, 완전한 문장으로 음성 산출이 이루어진다. 기억용량은 17,000자를 저장할 수 있다. 충전용 배터리로 작동되며, 여러 가지 입력 시스템과 확장용 멤브레인 보드(membrane board)로 액세스할 수 있고, 휠체어에 부착시킬 수 있다.
speed quotient 속도지수, 성문속도, 성문접촉속도율: 성대가 열리기 시작하여 최대로 열리기까지의 시간에 대한 성대가 최대로 열려 있을 때부터 완전히 닫히기까지 시간의 비율(%)을 말한다.
spelling 철자: 작성된 낱말 안의 낱글자에 더 관심을 갖게 되고 그것을 어떻게 조작할지에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자음과 모음을 맞추어 음절 단위의 글자를 만드는 일이다. 예를 들면 ‘ㄱ’과 ‘ㅏ’를 맞추어 ‘가’를 만드는 것 따위이다.
spelling development stage 철자법 발달 단계: Gentry(1982)가 제시한 철자법 발달 단계로 나눈다.
spelling dyslexia 철자성 난독증: 각각의 철자를 한자씩 읽은 후에만 한 단어를 정상적으로 읽을 수 있는 읽기장애를 말한다.
spertm 정자: 남성은 일생 동안 수 백 억의 정자를 생산한다. 이들은 모두가 1,000~2,000개의 정조세포로부터 발생한 것이다. 정조세포는 태생기 둘째 달 말경에 고환으로 이주하는데 이것이 증식하여 정자가 된다. 고환은 많은 정조세포를 예비로 남겨 두면서 일부 정조세포만 세포분열을 거듭하게 하여 세정관에서 성숙한 정자가 되게 한다. 여성의 경우 난자의 증식기가 태생기의 몇 주일 동안에 한정되어 있지만 이와 대조적으로 정자의 증식은 태생기에 그치지 않고 전생애에 걸쳐 계속된다. 그러므로 고환 정조세포의 수는 별로 감소되지 않고 정자의 생산 능력도 나이가 들어도 감퇴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노화로 고환 혈관에 변화가 오거나 혹은 뇌하수체 기능이 쇠퇴함으로서 간접적으로 정자 생산이 감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