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indle body 방추체: 세포가 유사분열할 때 핵분열의 전기 끝에 나타나고 말기에 분산되어 안 보이는 분열장치. 방추사로 구성되고, 핵분열의 전중기부터 후기에 걸친 염색체 운동의 장이다. 방추체를 구성하는 물질은 세포질의 그것과 다른 성질을 나타내는데 이것을 방추체 원형질이라고 하여 구별한다. 방추체는 정상적인 경우에는 양극 사이에서 방추형이지만, 약물처리하면 다극방추체로 된다. 중기부터 후기에 낭염색체군과 극 사이를 차지하고 있는 부분을 반방추체라고 한다. 후기에서 말기로 진행하면 반방추체 사이의 중간지역인 식물에서는 팽윤하여 격막형성체로 되고, 동물세포에서는 장출 방향으로 신장하여 잘록해진다. 방추체 단백질의 등전점은 pH4.5로 산성이고, 이 때문에 호염기성 색소로 염색이 안 되는 비염색상을 만든다. 매우 낮은 pH로 처리하면 방추체는 파괴된다.
spinocerebellar ataxia 척수소뇌 실조증: 10만명 당 약 3~7명 꼴로 발생하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질환으로 대표적 증상은 운동실조, 조음곤란, 삼킴 곤란, 구근육장애 등이 있다.
spinothalamic tract 척수 시상로: 통증, 온도, 촉감, 고유감각에 관한 정보를 척수에서 소뇌로 전달하는 감각신경로.
spiral effect 소용돌이 효과, 악순환 효과, 나선 효과: 말더듬인의 말더듬과 관련된 공포, 좌절, 당황 등으로 인해 나타나는 말더듬의 지속.
spiral ligament 나선인대: 나선띠를 형성하고 기저막에 붙어있는 와우관의 두꺼운 골막의 바깥부분. 중간계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spirant 마찰음(의): 마찰음(fricative). consonant, manner of formation 참조.
spirometer 폐활량계: 폐의 공기 보유량(air capacity)을 측정하고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로, 구어 산출과 관련된 호흡기능도 측정할 수 있다. Syn: respirometer.
Splink 스프링크: 950개의 단어, 문자, 숫자, 일반적인 상용 구, 여러 가지의 접두사와 접미사, 지시사항 등을 포함하고 있는 소형 전자 단어판을 가진 초기의 첨단 의사소통 보조기. 이것은 환자의 무릎에 고정시킬 수 있고, 적외선을 통해 일반 TV 세트의 안테나 소켓에 접속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박스로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단어는 TV 화면에 나타난다. 이 보조기에는 배선은 없지만, 환자는 TV 세트에서 12~15 피트 이내 거리에 있어야 한다. 1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2개 이상의 단어판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Splink는 그룹으로 사용될 수 있다. Splink는 'speech link'의 두문자어이다.
split brain 분리뇌: 좌우 대뇌반구의 대뇌피질을 연결하는 뇌량이 절단된 뇌를 말하는데, 뇌량 절단은 심한 간질병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최후수단으로 쓰였다. 뇌량을 절단하면 좌우 대뇌반구는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작용한다. 뇌량이 절단된 환자의 감각계, 기억, 운동계는 더 이상 정보를 의사소통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