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ite voice 백색 음성: 입술의 양 끝이 뒤쪽 아래로 당겨지고, 아랫입술, 혀, 턱이 경직된 상태로 부적절하게 공명시키는 음성.
whole language 총체적 언어: 언어를 개별적으로 보지 않고 다른 사회적, 인지적인 능력과 상호 관계를 갖고 있으며 동기, 경험, 학습과 같은 다른 비구어적 요소의 영향을받는 것으로 보며 또한 언어는 하나의 통합체계로 언어의 각 체계(음운, 의미, 통사등) 또는 언어의 사용 측면(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은 서로 관련되어 다른 체계나사용측면과의 영향 없이 독립적으로 변화될 수 없다고 본다.
whole language approach 총체적 언어 접근법: 언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하여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의 자연스러운 결합으로 언어를 지도하고자 하는 방법이다. 언어학습은 실제로 말하고, 듣고, 읽고, 쓰는 사건과 맥락 속에서 의미를 전하고 이해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언어사용과 언어기술은 동시에 학습되는 것이며, 인지발달과 언어발달이상호의존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본다. 이 접근법은 기본적으로 언어는 총체적(wholistic)이고 실제적(realistic)인 것이라는 신념에 기초하며, 구어의 습득과 마찬가지로 문어도 일상생활의 경험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습득되어질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언어는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사건과 맥락 속에서 의미를 이해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언어사용과 언어기술은 동시에 학습되는 것이며, 인지발달과 언어발달이 상호의존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본다. 때문에 실제 치료는 실생활에서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것이 동시에이루어지듯 아동의 실생활의 언어적 경험을 바탕으로 네 가지 언어기능이 통합적으로자연스럽게 상호 작용하도록 조절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또한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은 아동에게 동기 부여될 때보다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습득된 언어기술이 일상생활에서 기능적인 중요성을 갖게 될 때 촉진된다고 보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능들을가르치는 것을 강조한다.
whole object assumption 전체대상 가정, 온전한 대상 가정: 단어가 사물 전체를 의미한다고 가정하는 아동의 어휘학습 원리. 예를 들면 ‘자동차’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바퀴, 유리창, 색깔, 운전대 등의 의미는 제외함으로써 단어의 의미를 단순화시킨다는것이다.
whole object assumption 전체대상 가정, 온전한 대상 가정: 단어가 사물 전체를 의미한다고 가정하는 아동의 어휘학습 원리. 예를 들면 ‘자동차’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바퀴, 유리창, 색깔, 운전대 등의 의미는 제외함으로써 단어의 의미를 단순화시킨다는것이다.
whole word 통글자: 글자에 대한 지식이 있는 것이 아니라 친숙하고 시각적인 단서를통해 즉각적인 재인을 하는 것으로, 글자와 그림을 한꺼번에 짝지어 습득하는 학습형태이다. 즉, 특정 단어의 부분들에 주의를 기울여 읽는(발음하는) 것이 아니라 한 단어의전체에 주의를 기울여 읽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부호에 중점을 두지 않고 단어 의미를 파악하는 방식이다.
whole word approach 단어전체 접근: 눈으로 본 단어와 분절적 자질이 동일한 낱말을심성어휘집에서 찾아서 의미를 파악하는 것.
whole word interjection 단어전체 삽입: 비유창성의 유형. 말에 상관없는 단어를 첨부.word interjection 참조.
whole word processes 단어전체 변동: 음소차원의 변화가 아니고 음운단어 안에서 변동이 일어난다는 의미이다. 음절구조변동과 동화변동이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