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pipe 기관(器管), 숨통: trachea에 대한 비전문가들의 표현.
Wing's symbol 윙의 심볼, 윙 기호: 문장에서 서로 다른 품사들의 기능을 나타내는 심볼(주로 숫자와 문자)에 기초한 청각장애자들이 사용한 방법. 이러한 심볼들은 품사를 설명하기보다는 문장에서의 형식, 기능, 위치 등을 나타내기 위해 단어, 구, 절 위에 붙인다. 예) 1=명사, 2=소유격, 0=목적어 등.
WINL(within normal limits) 정상범위 내.
wisdom teeth 지혜의 치아: molar teeth 참조.
withdrawal symptom 금단증상: 특정 행동이나 약물 등에 중독되어 이를 중단하면 겪게 되는 증상. 과거에는 약물 중독의 의미로 많이 쓰였으나, 최근에는 도박, 인터넷, 스마트폰 등의 행위 중독(behavioral addiction) 개념으로도 쓰인다. 특히 아동들이 스마트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면서,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한 금단증상 및 충동조절 장애, 일상생활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토로하는 부모들이 많아지고 있다.
within-sentence analysis 문장 내 분석: 마이크로적 언어(microlinguistic) 분석이라고도 하며, 단어나 문장 수준에서 구문론적, 어휘-의미론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분석방법이다.
within-stimulus prompts 자극 내 촉구: 학생의 이름을 쓰도록 촉구하기 위해 종이에‘이름’이란 단어를 강조하는 것처럼 자극과 관련된 요소를 강조한다.
within-word disfluency 단어 내 비유창성, 낱말 내 비유창성: 단어 내 비유창성은 단음절 단어 전체 반복, 음·음절 반복, 들을 수 있는 연장, 들을 수 없는 연장 등이 포함되고, 단어 간 비유창성은 구 반복, 다음절 단어 전체 반복, 삽입, 수정 등을 포함한다.
within-word disfluency 단어 내 비유창성, 낱말 내 비유창성: 단어 내 비유창성은 단음절 단어 전체 반복, 음·음절 반복, 들을 수 있는 연장, 들을 수 없는 연장 등이 포함되고, 단어 간 비유창성은 구 반복, 다음절 단어 전체 반복, 삽입, 수정 등을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