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문맹

word blindness

word blindness 문맹, 단어맹: 실독증(alexia), 글자를 읽지 못하는.

단어맹

word blindness

word blindness 문맹, 단어맹: 실독증(alexia), 글자를 읽지 못하는.

단어 경계 효과

word bound effects

word bound effects 단어 경계 효과: Brown(1945)은 말더듬에 대한 초점이 소위 4가지의 단어를 중심으로 한 요인들, 즉 그 단어의 품사, 발화에서 그 단어의 위치, 그 단어의 어두음, 그 단어의 길이 등의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말더듬은 관사나 전치사, 접속사 등과 같은 기능어에서 보다는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등의 내용어에서 더욱 많이 발생하는 것 같다. 더구나, 말더듬은 모음보다는 자음(t,h, w 등 이외)으로 시작하는 단어, 발화를 처음 시작하는 단어 또는 문장의 시작부분에나오는 단어, 5자 이상으로 된 긴 단어, 음절에서는 어두음에서 더 우세하게 나타난다.이러한 발견점들은 문법적인 요인, 단어의 목적성, 혹은 두드러짐의 정도, 단어의 운율적인 속성, 그 단어에 포함되었다고 가정되어지는 정보 하중의 정도 등에 근거한 설명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로 해석되었는데 그 중에 하나가 단어 경계 효과이다. 이는 말더듬인들이 단어, 혹은 발화의 첫 음 혹은 시작 부분에서 병리적으로 비유창해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발화가 시작되는 부분에서 폐쇄가 일어난다는 폐쇄의 위치에대한 말더듬 발생 경향은 음절 수준에서뿐만 아니라 구 수준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단어 경계 효과, 즉, 말더듬을 일으키는 속성이 발화 전체 혹은 음절에서보다는 어휘적인항목에 있다는 것이다.

단어 읽기

word calling

word calling 단어 읽기: 읽기에서 의미를 이해하지 않고 개별 단어를 발음하는 것.

품사

word classes

word classes 품사, 단어분류: 문장패턴이나 공식적인 기준에 근거하지만, 품사에 속하는 것과 비슷한 단어들의 세트(set). 형식(forms)은 기능에 따라서 정의되지 않는다.parts of speech 참조.

단어분류

word classes

word classes 품사, 단어분류: 문장패턴이나 공식적인 기준에 근거하지만, 품사에 속하는 것과 비슷한 단어들의 세트(set). 형식(forms)은 기능에 따라서 정의되지 않는다.parts of speech 참조.

보완대체의사소통 상징의 낱말 부호

word code of AAC symbol

word code of AAC symbol 보완대체의사소통 상징의 낱말 부호: 의사소통 속도에 맞추기 위해 효율적인 방식으로 AAC 상징 부호를 사용하는 방법. ① 문자 부호(text code): 단일 낱말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축약된 부호. 절단형 부호(truncation codes)는 'HAMB=hamburger'와 같이 처음 몇 문자만을 남겨 두고 낱말을 축약하는 것이다. 단축형 부호(contraction codes)는 'HMBGR=hanburger'와 같이 가장 두드러지는 문자를 사용하여 낱말을 축약하는 것이다. 절단형 부호가 주로 더 적은 수의 문자를 갖고, 단축형 부호는 좀 더 융통성이 있다는 장점이 있다. ② 수문자 부호(alphanumeric codes): 'COMM 1 = communicate, COMM 2=communication, COMM 3=community'와 같이 낱말을 표현하기 위해 문자와 숫자를 모두 이용하는 부호화 방법. ③ 문자 범주 부호(character category codes): F=fruit, D=drink라면, FA는 사과, FB는 바나나, DC는 커피를 뜻하는 방법과 같이 첫 문자는 상위 범주를 나타내고 두 번째 문자는 특정 단어의 첫 문자로 부호화하는 방법. ④ 숫자 부호(number codes): 대상자가 운동 능력이 제한되어 의사소통 디스플레이가 충분하지 못할 경우 사용된다. 24가 안녕하세요, 13이 어제 등으로 쓰이며, 의사소통판 등에 해당 숫자에 관한 낱말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소통하게 된다. ⑤ 모스 부호(morse code): 문자와 구두점 및 숫자를 나타내기 위해 숫자와 대시를 사용하는 방법. 최초의 모스부호는 1844년 워싱턴-볼티모어 간에 '주님이 창조하신 것'이라는 의미로 발송되었다. 현재는 대부분 다른 통신수단으로 대체되었으나, 제한된 의사소통만 가능한 AAC 대상자들에게 모스 부호가 적용될 수 있다.

단어 모양

word configuration

word configuration 단어 모양: 전통적인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 형태(freeform)의패턴. 예) 자유 형태의 전반적인 특징, 길이, 활자(typography), 등등.

단어 계수

word count

word count 단어 계수: 구어 또는 문어에서 단어가 사용되는 빈도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