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d prediction function 단어 예측 기능: AAC 사용자가 자판을 입력할 때 단어나 문장을 예측해 주는 것을 말한다. 단어 예측 기능은 AAC 사용자의 단어 입력 수를 줄여 주어 자판입력 시간을 단축시켜 줄 수 있다. 그러나 단어를 살펴보는 시간이 긴 사람의경우에는 전체 문장을 타이핑하는 것이 시간이 더 적게 걸릴 수 있다.
word reading accuracy 단어 읽기 정확도, 낱말 읽기 정확도: 단어를 단독으로 제시하거나 문맥을 동시에 제시하여 얼마나 정확하게 읽는지를 평가한다.
word reading accuracy 단어 읽기 정확도, 낱말 읽기 정확도: 단어를 단독으로 제시하거나 문맥을 동시에 제시하여 얼마나 정확하게 읽는지를 평가한다.
word recall 단어 회상: 특정 단어를 나중에 다시 회상할 수 있는 능력. 주어진 단어가주어진 문장에 맞는지 결정하는 어의적 과제를 수행한 후 단어 재생 검사를 실시하는경우, 과제 수행 시 이용되었던 문장을 다시 보여주고 단어를 재생하게 하는 방법이 단서 재생의 한 예이다.
word recognition 단어재인, 낱말재인: 낱말재인 능력은 읽기과정의 초기 단계에서 이루어지며, 글을 읽고 이해하는 것에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조건이다. 어떤 단어를 듣거나 보고, 그것이 어떤 단어임을 아는 것이다. 형태소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언어의개념을 인식한 것으로 언어기능 회복과 발성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과 동시에 사물 변별과 단어 습득이 가능해진다. 시각적으로 제시된 단어를 부호화하고, 그것을 말소리로바꾸고, 그 말소리에 해당하는 어휘를 자신의 심성어휘집에서 탐색하여 의미와 연결 짓는 것을 말한다. 폭넓은 언어노출을 통해 단어 인식이 발달하면서 추상적인 사고의 기초가 되는 보다 유동적인 단어 의미를 이해하게 된다. 이러한 단어 인식의 향상이 학문적으로는 의미론적인 유연성을 높이기 때문에 새로운 정보에 대한 이해력을 향상시킨다.
word recognition 단어재인, 낱말재인: 낱말재인 능력은 읽기과정의 초기 단계에서 이루어지며, 글을 읽고 이해하는 것에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조건이다. 어떤 단어를 듣거나 보고, 그것이 어떤 단어임을 아는 것이다. 형태소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언어의개념을 인식한 것으로 언어기능 회복과 발성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과 동시에 사물 변별과 단어 습득이 가능해진다. 시각적으로 제시된 단어를 부호화하고, 그것을 말소리로바꾸고, 그 말소리에 해당하는 어휘를 자신의 심성어휘집에서 탐색하여 의미와 연결 짓는 것을 말한다. 폭넓은 언어노출을 통해 단어 인식이 발달하면서 추상적인 사고의 기초가 되는 보다 유동적인 단어 의미를 이해하게 된다. 이러한 단어 인식의 향상이 학문적으로는 의미론적인 유연성을 높이기 때문에 새로운 정보에 대한 이해력을 향상시킨다.
word recognition score 단어재인점수: 듣기 편한 강도에서 단음절 단어를 얼마나 정확히 인지하는지를 백분율(%)로 표시하는 방법. <참고> cognition를 인지로, recognition을 재인으로, awareness를 인식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서로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speech discrimination score 참조.
word recognition test 단어재인검사: 어음청력검사에서 사용되는 절차로, 미리 결정된역치 이상의 강도 수준으로 제시되는 단음절어에 대한 재인능력을 측정함.
word retrieval 단어 인출: 머릿속에 저장된 단어를 꺼내어 유창하게 언어를 구사할 수있게 하는 기본적인 기술 중 하나이다. 이 능력은 나이가 증가하면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어떠한 상황 또는 자극이 주어졌을 때 그에 해당되는 특정한 낱말을 산출하는 것이다.